신학과는 본교의 창학 정신인 평신도 신학, 초교파적 정신, 자주적 신학을 바탕으로 기독교 신학의 학술적인 이용과 그 학문적 방법을 철저히 교수 연구하여 기독교의 지도자적 인격을 함양하고 독창적인 능력을 개발하여 한국 교회와 사회에 이바지할 교회 지도자를 양성하고 있다.
한국 기독교의 새로운 모형을 구축하며, 초교파 교회일치의 신학을 연구 교수하여, 한국의 자주적 신학과 목회 및 선교를 위한 목회자와 평신도 지도자를 양성 한다.
신학과에서는 학문의 균형적인 발전을 위해 3분야(성서신학, 이론신학, 실천신학) 중에서 각각 1과목을 필수선택과목으로 이수해야 한다. 필수선택과목은 주임교수의 지도에 따라 학생의 전공영역을 고려하여 선정되며, 학기에 관계없이 졸업전에 이수하면 된다.
분야 | 성명 | 학위 | 학위수여대학 | 전공 |
---|---|---|---|---|
성서신학 | 박종수 | 철학박사 | 미. DREW. UNIV | 구약신학 |
박노식 | 철학박사 | 미. Southern Baptist Theological Seminary | 신약신학 | |
이론신학 | 백용기 | 신학박사 | 독. Ruhr-Universitat Bochum | 역사신학 |
실천신학 | 박종수 | 철학박사 | 미. DREW. UNIV | 구약신학 |
박노식 | 철학박사 | 미. Southern Baptist Theological Seminary | 신약신학 | |
백용기 | 철학박사 | 미. Southern Baptist Theological Seminary | 역사신학 |
교과과정 | PDF보기 |
---|
박사 | 국문명 | 신학박사 |
---|---|---|
영문명 | Doctor of Philosophy(Ph.D) | |
석사 | 국문명 | 신학석사 |
영문명 | Master of Theology(Th.M) |
국어국문학과는 우리 민족의 언어와 문학을 연구하는 학과로서 고전문학과 현대문학의 본질을 고찰하고, 국어의 과학적 이해를 도모하여, 민족의 문화적 유산을 계발하며, 한국어교육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전문적인 한국어 교원을 배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국어국문학과는 한국어문학에 대한 심오한 연구를 통하여 한국민족의 전통을 창조적으로 계승하고, 한국어교육에 대한 실제적 연구를 바탕으로 세계화시대에 한국어문학의 위상을 제고하여 민족과 인류발전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국어국문학과 교육과정은 각 세부 영역별로 기본교과목과 심화교과목을 적절히 배열하여 국어국문학 전반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체득하도록 준비되었다. 석사과정에는 한국어교육전공과 한국문학전공이, 박사과정에는 국어학전공, 현대문학전공, 고전문학전공이 개설되어 있다. 전공의 이수는 입학 시 본인의 신청과 졸업종합시험, 학위논문에 따른다. 다만, 석사과정의 한국어교육전공은 18학점 이상을 해당 전공과목에서 이수하여야 하며, 세부 이수 과목은 국립국어원 ‘한국어교원자격’ 학위과정 심사결과에 의거한다.
영역 | 학점 |
---|---|
1. 한국어학 | 3학점 |
2. 일반언어학 및 응용언어학 | |
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론 | 9학점 |
4. 한국문화 | 3학점 |
5. 한국어교육실습 | 3학점 |
합계 | 18학점 |
등급 | 대상 | 제출서류 |
---|---|---|
한국어교원2급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전공 또는 복수전공 학위 취득자 |
|
성명 | 학위 | 학위수여대학 | 전공 |
---|---|---|---|
박영섭 | 문학박사 | 성균관대 | 국어의미론 |
홍순석 | 문학박사 | 성균관대 | 고전문학(한국한문학) |
김동언 | 문학박사 | 고려대 | 국어학(음운론) |
김행숙 | 문학박사 | 고려대 | 현대문학(시창작) |
강유정 | 문학박사 | 고려대 | 현대문학비평 |
정은임 | 문학박사 | 숙명여자대 | 고전문학(궁중문학) |
교과과정 | PDF보기 |
---|
박사 | 국문명 | 문학박사 |
---|---|---|
영문명 | Doctor of Literature | |
석사 | 국문명 | 문학석사 |
영문명 | Master of Arts |
경영학과는 기업 활동을 연구하는 사회과학의 한 분야로서 현대 산업사회의 제반 문제를 합리적으로 분석 처리하고, 국가와 사회에 봉사할 수 있는 경영관리자의 양성을 위하여 경영관리 전반에 관한 깊은 이론과 새로운 기법을 연구 · 습득케 하여 유능하고 창의력 있는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
성명 | 학위 | 학위수여대학 | 전공 |
---|---|---|---|
허남일 | 경영학박사 | 성균관대학교 | 마케팅 |
이상석 | 경영학박사 | 고려대학교 | 생산 및 계량분석 |
민상훈 | 경영학박사 | 고려대학교 | 국제경영 |
전병찬 | 경영학박사 | 고려대학교 | MIS |
오세진 | 경영학박사 | 연세대학교 | 생산 및 서비스 |
방명하 | 경영학박사 | 미.Georgia State UNIV. | MIS |
윤종수 | 경영학박사 | 고려대학교 | MIS |
고인곤 | 경영학박사 | 고려대학교 | 마케팅 |
박종혁 | 경영학박사 | 한국외국어대학교 | 인사 · 조직 |
한준구 | 경영학박사 | 고려대학교 | 인사조직 |
권오진 | 경영학박사 | 서강대학교 | 회계 |
허경선 | 경영학박사 | 고려대학교 | 회계 |
교과과정 | PDF보기 |
---|
박사 | 국문명 | 경영학박사 |
---|---|---|
영문명 | Doctor of Business Administration | |
석사 | 국문명 | 경영학석사 |
영문명 | Master of Business Administration |
부동산학은 부동산현상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부동산의 기술적 · 경제적 · 법률적 · 제 측면을 연구하는 종합과학이다. 특히, 부동산관리 · 투자 · 금융 · 개발 · 컨설팅 등 부동산활동의 기초가되는 이론과 기술을 연구하는 분야로써 자원의 흐름을 이해하여 부동산학의 지식기반을 마련한다. 이를 바탕으로 부동산의 효율적인 관리에 기여할 우수한 부동산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있다.
토지 및 건물 등의 부동산은 그 종류가 다양하며 경영, 개발, 거래활동의 주체 역시 다양하기 때문에 부동산과 관련된 법률적 · 경제적 · 기술적 활동도 복잡하게 얽혀있다. 부동산학 전공필수 과목은 부동산학원론이며, 전공 선택과목으로는 부동산정책론, 부동산법론, 부동산경제론, 부동산사법, 부동산투자론, 부동산평가론, 부동산개발론 등의 과목이 있어서 졸업시까지 석사과정은 총 8과목(24학점), 연구과정은 총 4과목(12학점)을 이수해야 하고 재학 중 관련 공 · 사 기업체 및 관공서, 외국유명대학 및 기업 등에 견학 실습토록 되어있다.
성명 | 학위 | 학위수여대학 | 전공 |
---|---|---|---|
노태욱 | 행정학박사 | 서울대학교 | 부동산평가, 부동산개발,?부동산입지 |
김영곤 | 경영학박사 | 미. The UNIV. of Georgia | 부동산보험, 부동산투자, 부동산금융 |
김용민 | 법학박사 | 전주대학교 | 부동산보상평가, 부동산정책 |
박혁서 | 경제학박사 | 교토대학교 (일. 京都大學) | 경제동태분석 |
서충원 | 도시계획학박사 | 서울시립대학교 | 도시계획과 부동산개발, 부동산개발, 부동산정책 |
이창석 | 부동산학박사 | 일. 神戶大學 | 부동산학, 부동산중개론, 부동산컨설팅 |
이제우 | 법학박사 | 러.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대학교 | 민법 |
교과과정 | PDF보기 |
---|
박사 | 국문명 | 부동산학박사 |
---|---|---|
영문명 | Doctor of Real Estate | |
석사 | 국문명 | 부동산학석사 |
영문명 | Master of Real Estate |
조세제도의 발달 및 과세행정의 강화 추세와 더불어 전문화된 고급 세무인력을 양성하는 일은 기업뿐만이 아니라 세무행정당국의 입장에서도 시급한 당면과제이다. 그 중에서도 특히 기업경영에 있어서 세무관리는 기업의 경영성과 결정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며, 이에 따라 기업은 세무전문인력의 배출을 요구하고 있다. 본 학과는 이러한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여 조세법, 조세정책, 세무회계, 국제조세, 세무행정 및 세무학계에 필요한 조세이론의 확립과 세무학 실제를 교육하는 학과이다.
석사과정 4학기 동안 5개 분야(조세정책, 조세법, 세무회계, 국제조세, 지방세)의 기본과정을 이수한 뒤, 각 분야의 졸업논문(석사학위논문)을 작성한다. 특별 교육과정으로 중국조세에 대한 심도 있는 학문 연구를 수행한다. 박사과정은 석사과정을 이수한 뒤 각 세부전공분야(조세정책, 조세법, 세무회계, 국제조세, 지방세)의 논문을 작성한다(박사학위논문).
성명 | 학위 | 학위수여대학 | 전공 |
---|---|---|---|
박일렬 | 경제학박사 | 고려대학교 | 조세정책론 |
안창남 | 법학박사 | 프. Universite Pantheon Assas | 국제조세론 |
김병일 | 법학박사 | 경희대학교 | 조세법론 |
성용운 | 세무학박사 | 서울시립대학교 | 회계학, 세무회계 |
유호림 | 경제학박사 | 중. 中國人民大學 | 중국세무학, 중국세법 |
김완석 | 경영학박사 | 중앙대학교 | 조세법이론 |
장태평 | 세무학박사 | 강남대학교 | 세무학 |
서희열 | 경영학박사 | 건국대학교 | 세법, 세무회계론 |
교과과정 | PDF보기 |
---|
박사 | 국문명 | 세무학박사 |
---|---|---|
영문명 | Doctor of Tax Science | |
석사 | 국문명 | 세무학석사 |
영문명 | Master of Tax Science |
교육학과는 교육에 대한 전문적 지식과 연구능력을 함양하고, 교육의 본질에 대한 올바른 관점과 교육현상에 대한 비평적 시각을 갖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육학과 석.박사 과정은 교육행정, 교육상담, 유아교육, 특수교육의 세부전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교육학의 공통적인 이해와 세부전공별 전문화를 동시에 추구한다.
사범대학 교육학 전공의 일반대학원 과정은 강남대학교의 창학이념인 ‘경천애인’을 바탕으로 지식정보화 시대를 이끌어 갈 수 있는 교육학 분야에 대한 전문지식과 연구능력을 바탕으로 교육학의 학문적인 발전 및 현장 교육을 개선시킬 수 있는 교육전문가의 양성을 목적으로 한다.
4개의 세부 전공(교육행정 교육상담 유아교육 특수교육)에는 공통전공 과목과 전공선택 과목이 구분되어 있다. 공통전공 과목은 4개 세부 전공 학위과정에서 공통으로 일정한 학점을 이수해야 한다. 전공선택 과목은 4개 세부 전공 학위과정에서 고유의 일정한 전공 학점을 이수해야 한다. 박사과정에는 이수해야 할 개별연구지도(Ⅰ Ⅱ Ⅲ)가 별도로 있다. 또한 특수교육 전공은 석.박사과정이 함께 수강하는 전공선택 과목도 운영되고 있다.
성명 | 학위 | 학위수여대학 | 전공 |
---|---|---|---|
김철주 | 교육학박사 | 미 · University of Georgia | 교육공학 |
신건호 | 교육학박사 | 한양대학교 | 아동발달 연구방법 |
문연심 | 교육학박사 | 성신여자대학교 | 유아교수.학습방법 |
박명숙 | 교육학박사 | 단국대학교 | 유아음악교육 |
강창욱 | 문학박사 | 대구대학교 | 언어 · 청각장애 |
이재욱 | 심신장애학박사 | 일 · 쯔꾸바대학교 | 정서 · 행동장애아 |
김호연 | 철학박사 | 미 · University of Florida | 유아특수교육 |
최승숙 | 철학박사 | 미 · University of Illinois | 경도학습장애 |
구본용 | 교육학박사 | 한양대학교 | 교육상담 |
안귀여루 | 심리학박사 | 고려대학교 | 임상심리 |
손수민 | 교육학박사 | 미 · SUNY-Buffalo 대학교 | 유아교육 |
유제민 | 심리학박사 | 중앙대학교 | 임상심리학 |
박희숙 | 문학박사 | 이화여자대학교 | 영아교육 · 교수학습방법 |
이희숙 | 교육학박사 | 서울대학교 | 교육경제학 |
황영준 | 교육학박사 | 건국대학교 | 교육학 |
교과과정 | PDF보기 |
---|
박사 | 국문명 | 교육학박사 |
---|---|---|
영문명 | Doctor of Education | |
석사 | 국문명 | 교육학석사 |
영문명 | Master of Education |
사회복지는 인간의 가치와 존엄성을 전제로 사회정의의 필요성을 옹호하며 개인과 집단의 개별적 차이를 존중하고 보호하는 실천학문이다. 이에 강남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는 기독교 정신과 홍익인간의 이념을 바탕으로 사회복지의 핵심 가치인 인간존엄과 사회정의를 실천할 수 있는 사회복지 전문 인력 배출에 힘쓰고 있다. 사회복지 전문성에 대한 높은 사회적 기대와 사회복지서비스의 확장과 다양화로 현장과 학계에는 학문적 역량과 실천 역량을 갖춘 전문 인력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학문적 탐구 역량과 실천 역량을 고루 갖춘 사회복지 인재 배출을 위한 질 높은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사회복지학과에서는 사회복지전문가의 핵심역량으로 1) 사회복지를 학문적으로 탐구할 수 있는 역량 2) 사회복지의 가치와 윤리를 내재화 할 수 있는 역량 3) 이론과 실증 연구에 기반을 둔 실천 역량 4) 사회복지 실천 현장에서 요구되는 실무 역량 등으로 구성된다고 본다. 이에 본 학과에서는 실천 현장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체계의 서비스 개입을 위해 통합적 방법을 활용 할 수 있는 능력 있는 실천가와 사회복지 정책과 행정조직에 대한 계획과 실행은 물론 프로그램 평가와 정책들을 세우기위한 이론과 기술을 갖춘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과과정과 다양한 연구 활동의 기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단계 | 목표 | 교과예시 |
---|---|---|
1단계 | 사회과학의 패러다임과 논리적 사고 방식에 대한 이해 | 사회복지사상과이론 사회복지윤리와철학 사회과학연구방법론(신설교과 안) |
2단계 | 연구방법(질적 방법/양적 방법)에 대한 이해 및 적용 | 사회복지조사방법론 고급양적연구방법론 고급질적연구방법론 |
3단계 | 구체적인 연구 주제 선정 및 연구 설계와 실행을 위한 교과 | 연구계획서 및 프로젝트 관리 논문세미나 |
4단계 | 지도교수와의 개별 연구 수업 | 개별연구지도 |
단계 | 목표 | 교과예시 |
---|---|---|
1단계 | 사회문제에 대한 이해 | 빈곤론 문화적 다양성과 사회복지 가족폭력과 사회복지실천 중독과 사회복지 |
2단계 | 사회복지실천에 대한 이해 | 사회보장세미나 사회복지경제세미나 사회복지행정세미나 주거복지와 환경 장애인 정책 및 서비스 연구 비영리조직세미나 사례관리세미나 집단개입론 사회복지실천세미나 |
3단계 | 사회복지 현장 실습 | 현장실습세미나 1, 2 |
4단계 | 지도교수와의 개별 지도 | 개별연구지도 |
과정 | 이수 구분 | 과목명 | 학점 |
---|---|---|---|
석사과정 | 전공 필수 | 사회복지조사론, 사회복지현장실습 | 3 |
석·박사과정 | 전공 선택 | 가족복지론, 가족치료, 가족폭력과 사회복지실천 교정복지론 노인건강관리론, 노인복지론, 모금 및 후원개발, 복지국가론, 비교사회복지론, 빈곤론, 사례관리론, 사회보장론, 사회복지경제론, 사회복지사상과 이론,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 윤리와 철학, 사회복지자료분석론, 사회복지정책세미나, 사회복지행정론, 사회복지행정세미나, 산업복지론, 실습지도감독론, 아동복지론, 여성복지론, 장애인복지론, 정신보건사회복지론, 집단개입론, 청소년복지론, 프로그램개발및평가, 학교사회사업론, 지역사회복지론, 사회복지법제론, 사회복지 질적방법론, 임상사회사업, 국제사회복지론, 케어복지론, 정신건강론, 사회복지시설관리론, 사회복지 정보론, 여가복지론, 연구보고서, 교회사회복지론, 인간행동과 사회환경분석, 비영리조직론, 중독과 사회복지, 의료사회복지론, 삶과 죽음학, 문화적 다양성과 사회복지, 통일과 사회복지, 노인인권과 복지, 고용과 복지, 생태사회복지 | 3 |
박사 과정 | 전공 선택 | 가족복지정책 및 서비스연구, 개별연구지도, 고급가족치료기법, 고급노인복지세미나, 고급사회복지정책 및 서비스 연구, 고급사회복지조사방법론, 고급임상사회사업세미나, 고급지역사회조직론, 고급질적연구방법론, 노인복지정책 및 서비스연구, 논문, 논문세미나, 사회보험제도비교연구, 사회복지기관 운영 및 행정연구 사회복지정책 및 법제 비교 연구, 산업복지정책 및 서비스연구, 아동청소년 복지정책 및 서비스연구, 연구계획서 및 프로젝트 관리 의료정신보건정책 및 서비스연구, 자원봉사(복지)정책 및 서비스 연구, 장애인 복지 정책 및 서비스연구, 재활상담, 고급양적연구방법론, 자원봉사정책 및 서비스연구, 사회복지 프로그램평가, 고급사회복지실천세미나, 고급사회복지세미나, 주거복지와 환경 | 3 |
1) 사회복지현장실습은 전공필수 과목으로 운영한다.
2) 단, 사회복지현장실습은 사회복지사 1급 또는 2급 자격증을 취득한 자에게는 현장 경력 유무에 상관없이 모두 선택과목으로 지정하기로 함. (2018학년도 이후 입학생부터 소급 적용)
성명 | 학위 | 전공 |
김근홍 | 독. 함부르크대학교 철학박사 | 정책(노인복지, 사회복지법, 사회보험) |
김민정 | 미. 워싱턴대학교 | 청소년복지 |
김수완 |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박사 | 사회복지정책, 사회보장, 복지국가 |
김혜성 | 미. 올바니뉴욕주립대학교 사회복지학박사 | 임상(아동학대, 정신보건) |
박화옥 | 미. 위스콘신주립(메디슨)대학교 사회복지학박사 | 사회복지실천(노인복지, 조손가족) |
원지영 | 미. 시카고대학교 사회복지학박사 | 청소년복지 |
윤찬중 | 일. 북쿄대학교 사회학박사 | 정책(사회정책, 임종학, 케어복지) |
이원숙 | 이화여자대학교 문학박사 | 임상(사회복지실천, 가족복지) |
이준우 | 숭실대학교 사회사업학박사 | 임상(장애인복지, 교회사회복지실천) |
이홍직 | 미. 콜롬비아대학교 사회복지학박사 | 사회복지정책, 사회복지행정 |
이효선 | 독. 올덴버그대학교 철학박사 | 임상(인간발달이론, 질적연구) |
임정원 | 미.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 사회복지학 박사 | 임상(의료, 정신의료) |
임현승 | 미. 사우스캐롤라이나대학교 사회복지학박사 | 사회복지실천 |
전호성 | 일. 조오치대학교 사회복지학박사 | 사회복지정책(사회복지법/제도, 사회보장) |
조소영 | 서울대학교 보건학박사 | 정책(주거복지, 산업복지, 정신건강증진) |
최종혁 | 일. 조오치대학교 사회복지학박사 | 임상(질적연구, 지역사회) |
최희철 | 숭실대학교 사회복지학박사 | 정신보건사회복지 |
한동우 | 연세대학교 문학박사 | 사회복지행정, 비영리조직 |
교과과정 | PDF보기 |
---|
박사 | 국문명 | 사회복지학박사 |
---|---|---|
영문명 | Doctor of Social Welfare (D.S.W) | |
석사 | 국문명 | 사회복지학석사 |
영문명 | Master of Social Welfare(M.S.W) |
普通研究生院博士课程国际经济贸易学系
◦ 미래세대를 교육할 이론적, 실무적 역량을 갖춘 융·복합적 교학인력 양성
培养具备培养未来一代理论,实务力量的复合型教学人才
- 중화경제를 이끌어갈 미래세대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교육역량을 갖춘 교학 인력의 양성
培养具有引领中华经济的未来一代理论,实务教育力量的教学人才
- 이론적지식의 기초 하에 지역경제협력 및 국제경제협력에 기여할 실무적 응용역량을 갖춘 인재를 양성할 교학 인력의 양성
在理论知识的基础上,培养具有为区域经济合作及国际经济合作作出贡献的实际应用能力的人才的教学人才
◦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창의적 전문 인재 양성
理论与务实兼备的创新型专业人才的培养
- 급변하는 글로벌 시대의 새로운 사회·경제현상과 문제에 대해 조사·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창의적 인재 양성
培养能够对瞬息万变的全球化时代的新社会,经济现象和问题进行调查研究的创新型人才
- 다양한 사회현상에 대해 이론적, 실무적 연구를 진행하여 학문적 성과 및 실용적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창의적 고급 인력 양성
对各种社会现象进行理论,实务研究,培养能够取得学术成果及实用结果的创意高级人才
◦ 국제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고급 전문가 양성
培养能够为国际社会做出贡献的高级专家
- 중화권경제의 인적·물적 자원을 아우를 수 있는 네트워킹구축역량을 갖춘 글로벌 고급 전문가 양성
培养集中华圈经济人力,物力于一体的网格构建力量的全球高级专家
- 연구 성과를 통하여 국제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우수한 연구인력 양성
通过研究成果为国际社会做出贡献的优秀研究人员的培养
성명 | 학위 | 학위수여대학 | 전공 |
---|---|---|---|
김봉호 | 경제학박사 | 건국대학교 | 경제이론(경제변동) |
정진용 | 경제학박사 | 서울대학교 | 미시경제 |
김경환 | 경제학박사 | 중국 인민대학교 | 재정학 |
차혜경 | 경제학박사 | 고려대학교 | 국제금융 |
유원석 | 경제학박사 | 서울대학교 | 재무경제학 |
허남일 | 경영학박사 | 성균관대학교 | 마케팅 |
박근호 | 경영학박사 | 서강대학교 | 국제경영 |
임성철 | 경영학박사 | 성균관대학교 | 무역경영 |
교과과정 课程名称 | PDF보기 |
---|
박사 | 국문명 | 국제경제학박사 |
---|---|---|
영문명 | Doctor of International Economics |
국제통상학과는 국제무역의 이론과 정책, 국제경영 영역 및 국제상학 영역에 관해 전문지식을 양성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급변하는 국제경제, 통상 및 경영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국제통상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국제경제학, 국제경영학, 국제상학 등의 유기적인 학제적 편제로 국제통상분야의 유능한 전문가를 양성하고자 한다.
국제통상학과는 국제화시대에 부응하여 국제통상 및 국제지역과의 교류에 관한 이론 및 실무를 심도있게 연구하고 교수하여 인류공영의 이상실현에 기여하고, 한국의 국제화를 통하여 국가와 사회발전에 능동적으로 주도할 수 있는 역량있는 국제통상전문가 및 지도자적 인재를 양성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국제통상학과에서는 대학원 석사학위 과정을 두고 다양한 전공과목을 개설하여 학생들에게 폭 넓은 국제전문지식을 배양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 놓고 있으며, 교과과정은 국제통상 및 해외지역전문가로서 요구되는 교과목들로 편성하여 이론과 실무를 조화시킨 집중적인 전문교육을 실시한다.
국제통상학과는 국제무역이론 영역, 국제경영 영역 및 국제상학 영역으로 세분화하고, 분야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국제통상학과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목표를 둔다.
성명 | 학위 | 학위수여대학 | 전공 |
---|---|---|---|
이우채 | 경영학박사 | 프. UNIV. de Nice Sophia Antipolis | 국제마케팅 |
장명기 | 경영학박사 | 미. Syracuse UNIV. | 국제재무관리 |
박근호 | 경영학박사 | 서강대학교 | 국제경영 |
교과과정 | PDF보기 |
---|
석사 | 국문명 | 국제통상학석사 |
---|---|---|
영문명 | Master of Science in International Trade |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심리학과는 심리학 이론과 응용 능력을 갖춘 심리학 분야의 인재를 양성하는 학과이다. 현재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심리학과는 기초(인지 및 사회 문화 ) 및 응용(상담)의 두 전공으로 구성되어 있다
21세기 들어 가장 각광받고 있는 학문의 하나인 심리학은 인간의 마음과 행동을 관찰하고 그 원인을 탐구하는 경험과학이다. 학문으로써 심리학은 직관이나 상식을 넘어 과학적인 관찰과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인간과 사회 현상에 대한 영향력 있는 이론과 실천의 기초를 제공한다. 특히 심리학은 급격한 사회변화에 직면한 현대인에게 자신과 타인, 그리고 사회에 적응하는데 유용한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는 필수적인 학문으로 자리잡고 있다. 강남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는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여 심리학적 지식체계와 이론에 대한 심오한 탐구를 토대로, 실제 삶 속에서 심리현상의 원리를 발견하고 적용하여 인간의 삶을 풍요롭고 의미 있게 구성해가는 능력을 갖춘 전문가 양성을 목적으로 한다.
심리학과의 교육과정은 심리학의 제반 이론을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자신의 세부전공을 심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구성한다. 심리학의 연구들은 과학적인 관찰과 연구 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다양한 학문 분야의 토대가 되며, 심리학이 제공하는 과학적 발견들은 우리 사회 제반의 문제를 해결하고 개개인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한다. 따라서 본 과정에서는 과학으로서의 심리학 전반을 이해하고 더 나아가서 최근에 부각되는 삶의 질의 문제와 관련된 인지, 사고, 성격, 지능, 적성 등 심리학의 기본적인 주제들을 면밀히 살필 수 있도록 다양한 교과목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한다. 즉 본 교육과정에서는 심리학적 기초 지식뿐만 아니라 실제적 삶속에서 심리학적 원리들을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전문가를 양성하는 데 필요한 과목들을 개설한다.
성명 | 학위 | 학위수여대학 | 전공 |
---|---|---|---|
신건호 | 교육학박사 | 한양대학교 | 교육심리학 |
안귀여루 | 문학박사 | 고려대학교 | 심리학 |
임정원 | PhD, MA | U of Southern California | 의료사회복지 및 건강증진 |
구본용 | 교육학박사 | 한양대학교 | 상담심리학 |
유제민 | 문학박사 | 중앙대학교 | 심리학 |
교과과정 | PDF보기 |
---|
석사 | 국문명 | 심리학석사 |
---|---|---|
영문명 | Master of Psychology |
수화언어통번역학과는 수화언어 이론과 수화언어 사용능력을 갖춘 수화언어 통번역 전문가와 한국수어교원을 양성하는 학과이다. 이를 위해 수어학, 농학, 농문화, 농사회, 수어통역, 수어번역, 수어교육에 대한 이론 및 실무 지식을 배양하여 해당 분야에서 전문가로서의 역량강화를 도모하고자 한다.
※ 전공 : 수화언어통번역학전공, 수화언어교육학전공
수화언어통번역학과는 수화언어에 대한 학문적 이해를 높이고 수화언어교육에 대한 실제적 연구를 바탕으로 수화언어 이론과 수화언어 사용능력을 갖춘 수화언어 통번역 전문가와 한국수어교원을 양성함을 목적으로 한다.
수화언어통번역학과는 세부전공으로 수화언어통번역학 전공과 수화언어교육학 전공이 있으며, 전문 수어통역과 수어번역, 수어교육에 집중된 교육과정으로 운영된다. 1~2학기에는 공통 기본교과목을 중심으로, 3~4학기에는 공통과목과 각 전공별 심화교과목을 중심으로 과목이 개설된다. 전공 이수는 입학 시 본인이 신청한 세부전공에 따르되 논문 6학점을 포함해 전체 최소 30학점 이상 이수하여야 한다. 단, 수화언어교육학 전공은 18학점 이상(학부 비전공자는 24학점 이상)을 해당 전공과목에서 이수하여야 하며, 세부 이수과목은 국립국어원 ‘한국수어교원 자격’ 학위과정 심의결과에 의거한다.
2급
1급
과정 영역 | (전문)학사 학위 | 석 박사 학위 |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수화언어통번역학과 | |
---|---|---|---|---|
전공 | 학부전공 | 학부비전공 | ||
1. 언어 및 교육 기초 | 3학점 | 6학점 | 6학점 | 6학점 |
2. 한국 수어학 | 6학점 | |||
3. 한국수어교육론 | 12학점 | 6학점 | 9학점 | 9학점 |
4. 한국수어 실제 | 9학점 | - | 3학점 | 6학점 |
5. 농문화와 농사회 | 3학점 | 3학점 | 3학점 | 6학점 |
6. 한국수어교육실습 | 3학점 | 3학점 | 3학점 | 3학점 |
합계 | 36학점 | 18학점 | 24학점 | 30학점 |
성명 | 학위 | 학위수여대학 | 전공 |
---|---|---|---|
강창욱 | 문학박사 | 대구대학교 | 언어청각장애교육 |
이준우 | 사회복지학박사 | 숭실대학교 | 장애인복지, 재활복지 |
김동언 | 문학박사 | 고려대학교 | 국어학 |
김호연 | 철학박사 | University of Florida | 시각장애교육, 유아특수교육 |
최승숙 | 철학박사 |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n | 학습장애교육 |
교과과정 | PDF보기 |
---|
석사 | 국문명 | 문학석사 |
---|---|---|
영문명 | Master of Arts(M.A.) |
과학기술과 새로운 자원으로서의 지식이 정보통신의 발달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 분야가 21세기에는 새로운 모습으로 탈바꿈하고 있다. 전자공학은 이러한 변화를 주도하는 학문으로 본교에서는 기초 이론으로부터 응용분야를 망라하여 전자공학 분야에서의 교육, 연구와 개발을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세부 전공분야는 반도체, 정보통신, 고 정밀제어, 디지털 회로 설계, 컴퓨터 공학, 신호처리,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고전적 분야뿐 만 아니라 첨단 레이저응용 미세가공, MEMS (초소형 기전공학) 및 나노 기술과 같은 새로운 복합학문영역을 포함한다. 이들 기술의 응용분야들은 우리나라의 주요 수출품인 반도체, 휴대폰, 디스플레이 기기, HDTV 등으로서 깊이 연관되어 우리나라의 기술발전에 기여할 것이다. 특히 본 대학원은 교내 외의 특화연구소 및 협력연구소와의 긴밀한 연구를 통해 보다 실질적이고 최첨단의 기술의 교육 및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본 전자공학과에서는 정보통신시스템, 반도체공학, 무선정보통신, 지능시스템 및 복합전공 등 5개의 세부전공을 가지며, 각 세부전공과정은 최소한 3개의 교과목을 개설하고, 또한 국내외 외부 전문인력을 초빙하여 다양한 교과목을 개설하여 새로운 학문분야의 질 높은 교육을 수행한다.
복합전공으로는 전공 특성화 과정으로 레이저 미세가공 기술분야를 현재 설치하고 있으며, 이 분야에서는 레이저 미세 가공시스템을 이용한 반도체, 전자부품, 의공학 부품에 관한 연구를 한다. 특히 이러한 분야의 미흡한 국내 연구수준을 극복하기 위하여 외국의 유수 연구소와의 국제공동연구 및 교환학생제도를 시행함으로서 연구수준의 향상을 도모한다.
본 석사학위 과정의 전공과목은 최소한 15과목으로 구성하며, 그 외의 개설 교과목의 내용은 각 학기 전에 공고하여 학생들의 선택폭을 넓힐 수 있게 한다.
석사학위 취득은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학칙에 기준하며, 이와 함께 당 전공 개설과목 중 18학점 이상의 이수와 지도교수의 지침하에 특강, 세미나 또는 프로젝트 참여 등을 통한 연구학점 4학점을 이수해야 하고, 위 5개의 세부전공분야 중에 본인의 세부전공 외의 다른 1개의 세부전공을 선택하여 총 2개의 세부전공분야에서 종합시험을 통과하여야 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졸업논문을 신청하여 졸업논문심사를 통과해야 한다.
또한 원활하고 보다 심도 있는 교육을 위해 연구실 운용제도 및 지도교수제도를 시행한다. 즉 석사과정의 입학자는 입학 후 첫 학기 내에 주임교수의 지도하에 지도교수를 정하고, 연구실 배정을 받아야 한다. 주임교수는 연구실 배정시 연구실간의 형평성을 배려하고 학생의 희망과 지도교수의 의견을 존중하여 결정한다.
성명 | 학위 | 학위수여대학 | 전공 |
---|---|---|---|
최종호 | 공학박사 | 중앙대학교 | 영상정보통신 |
이용현 | 공학박사 | 독. RWTH Aachen UNIV. | 제어계측, Laser응용, 연료전지 |
서경환 | 공학박사 | KAIST | 마이크로파 및 안테나, 무선통신 |
교과과정 | PDF보기 |
---|
석사 | 국문명 | 공학석사 |
---|---|---|
영문명 | Master of Engineeri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