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과는 본교의 창학 정신인 평신도 신학, 초교파적 정신, 자주적 신학을 바탕으로 기독교 신학의 학술적인 이용과 그 학문적 방법을 철저히 교수 연구하여 기독교의 지도자적 인격을 함양하고 독창적인 능력을 개발하여 한국 교회와 사회에 이바지할 교회 지도자를 양성하고 있다.
한국 기독교의 새로운 모형을 구축하며, 초교파 교회일치의 신학을 연구 교수하여, 한국의 자주적 신학과 목회 및 선교를 위한 목회자와 평신도 지도자를 양성 한다.
신학과에서는 학문의 균형적인 발전을 위해 3분야(성서신학, 이론신학, 실천신학) 중에서 각각 1과목을 필수선택과목으로 이수해야 한다. 필수선택과목은 주임교수의 지도에 따라 학생의 전공영역을 고려하여 선정되며, 학기에 관계없이 졸업전에 이수하면 된다.
분야 | 성명 | 학위 | 학위수여대학 | 전공 |
---|---|---|---|---|
성서신학 | 박노식 | 철학박사 | 미. Southern Baptist Theological Seminary | 신약신학 |
이론신학 | 백소영 | 신학박사 | 미. Boston University School of Theology | 기독교사회윤리, 여성신학 |
교과과정 | PDF보기 |
---|
박사 | 국문명 | 신학박사 |
---|---|---|
영문명 | Doctor of Philosophy(Ph.D) | |
석사 | 국문명 | 신학석사 |
영문명 | Master of Theology(Th.M) |
국어국문학과는 우리 민족의 언어와 문학을 연구하는 학문으로서 고전문학과 현대문학의 전통적인 맥락관계를 고찰하고 국어의 과학적 이해를 도모하여 민족의 문화적 유산을 개발, 연마하여 그 빛을 선양하는 것을 목표로 설치되었다. 따라서 학생 각자의 선택에 따라 국어학, 고전문학, 현대문학의 영역별로 활동하게 된다.
국어국문학과는 한국어문학에 대한 심오한 연구를 통하여 한국민족의 전통을 창조적으로 계승하고, 한국어교육에 대한 실제적 연구를 바탕으로 세계화시대에 한국어문학의 위상을 제고하여 민족과 인류발전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국어국문학과 교과과정은 각 세부 영역별로 기본교과목과 심화교과목을 적절히 배열하여 국어국문학 전반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체득하도록 준비되었다. 석사과정은 통합과정으로 운영되나, 박사과정은 국어학 ․ 고전문학 ․ 현대문학으로 구분 운영한다. 교과목은 석 ․ 박사 공통으로 운영한다..
영역 | 학점 |
---|---|
1. 한국어학 | 3학점 |
2. 일반언어학 및 응용언어학 | |
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론 | 9학점 |
4. 한국문화 | 3학점 |
5. 한국어교육실습 | 3학점 |
합계 | 18학점 |
등급 | 대상 | 제출서류 |
---|---|---|
한국어교원2급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전공 또는 복수전공 학위 취득자 |
|
성명 | 학위 | 학위수여대학 | 전공 |
---|---|---|---|
김행숙 | 문학박사 | 고려대학교 | 현대문학(시창작) |
강유정 | 문학박사 | 고려대학교 | 현대문학비평 |
교과과정 | PDF보기 |
---|
박사 | 국문명 | 문학박사 |
---|---|---|
영문명 | Doctor of Literature | |
석사 | 국문명 | 문학석사 |
영문명 | Master of Arts |
경영학과는 기업 활동을 연구하는 사회과학의 한 분야로서 현대 산업사회의 제반 문제를 합리적으로 분석 처리하고, 국가와 사회에 봉사할 수 있는 경영관리자의 양성을 위하여 경영관리 전반에 관한 깊은 이론과 새로운 기법을 연구 · 습득케 하여 유능하고 창의력 있는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
성명 | 학위 | 학위수여대학 | 전공 |
---|---|---|---|
민상훈 | 경영학박사 | 고려대학교 | 국제경영 |
전병찬 | 경영학박사 | 고려대학교 | MIS |
오세진 | 경영학박사 | 연세대학교 | 생산 및 서비스 |
방명하 | 경영학박사 | 미.Georgia State UNIV. | MIS |
윤종수 | 경영학박사 | 고려대학교 | MIS |
고인곤 | 경영학박사 | 고려대학교 | 마케팅 |
박종혁 | 경영학박사 | 한국외국어대학교 | 인사 · 조직 |
한준구 | 경영학박사 | 고려대학교 | 인사조직 |
권오진 | 경영학박사 | 서강대학교 | 재무회계 |
허경선 | 경영학박사 | 고려대학교 | 회계 |
강 민 | 경영학박사 | 서울대학교 | 재무금융 |
교과과정 | PDF보기 |
---|
박사 | 국문명 | 경영학박사 |
---|---|---|
영문명 | Doctor of Business Administration | |
석사 | 국문명 | 경영학석사 |
영문명 | Master of Business Administration |
부동산학과에서는 경제적·법률적·기술적 측면에 기반한 종합적인 접근방법을 통해 부동산 현상과 활동을 이해하고 분석하고 있다. 부동산학의 관점에서 부동산시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현상들을 경제적·법률적·기술적 측면에서 입체적으로 접근해 예측·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부동산활동을 능률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한다. 부동산학과에서는 종합응용학문을 추구하는 만큼 이론적 측면과 함께 실무적 측면도 연구 대상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연구를 위해 부동산경제분야, 부동산법률분야, 부동산기술분야와 관련된 다양한 부동산 전문 분야에 대한 강좌를 개설함으로써 높은 연구역량과 전문성을 지닌 부동산분야의 우수한 전문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
부동산학과에서는 경제적·법률적·기술적 측면에서 다양한 부동산현상과 부동산활동을 분석하고 연구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전공교과목을 두고 있다. 전공교과목은 종합학문을 추구하는 부동산학의 취지에 맞게 부동산경제분야, 부동산법률분야, 부동산기술분야와 관련된 다양한 교과목들로 개설되어 있다. 이들 전공교과목들에 대한 강좌를 통해 부동산현상과 활동을 종합적인 관점에서 예측·분석하고 능률화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성명 | 학위 | 학위수여대학 | 전공 |
---|---|---|---|
서충원 | 도시계획학박사 | 서울시립대학교 | 도시계획과 부동산개발, 부동산개발, 부동산정책 |
박혁서 | 경제학박사 | 교토대학교 (KYOTO UNIVERSITY, JAPAN) | 경제학(세부전공 : 경제동태분석, Analysis of Economic Dynamics) |
이제우 | 법학박사 | 러.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대학교 | 부동산법 |
강지원 | 부동산학박사 | 강남대학교 | 부동산조세, 회계, 금융, 투자 |
교과과정 | PDF보기 |
---|
석사 | 국문명 | 부동산학석사 |
---|---|---|
영문명 | Master of Real Estate |
조세제도의 발달 및 과세행정의 강화 추세와 더불어 전문화된 고급 세무인력을 양성하는 일은 기업뿐만이 아니라 세무행정당국의 입장에서도 시급한 당면과제이다. 그 중에서도 특히 기업경영에 있어서 세무관리는 기업의 경영성과 결정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며, 이에 따라 기업은 세무전문인력의 배출을 요구하고 있다. 본 학과는 이러한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여 조세법, 조세정책, 세무회계, 국제조세, 세무행정 및 세무학계에 필요한 조세이론의 확립과 세무학 실제를 교육하는 학과이다.
석사과정 4학기 동안 5개 분야(조세정책, 조세법, 세무회계, 국제조세, 지방세)의 기본과정을 이수한 뒤, 각 분야의 졸업논문(석사학위논문)을 작성한다. 특별 교육과정으로 중국조세에 대한 심도 있는 학문 연구를 수행한다. 박사과정은 석사과정을 이수한 뒤 각 세부전공분야(조세정책, 조세법, 세무회계, 국제조세, 지방세)의 논문을 작성한다(박사학위논문).
성명 | 학위 | 학위수여대학 | 전공 |
---|---|---|---|
박일렬 | 경제학박사 | 고려대학교 | 조세정책론 |
성용운 | 세무학박사 | 서울시립대학교 | 회계학, 세무회계 |
유호림 | 경제학박사 | 중. 中國人民大學 | 중국세무학, 중국세법 |
두서영 | 겅영학박사 | 고려대학교 | 경영학, 회계학 |
황인규 | 법학박사 | 성균관대학교 | 법학, 조세법 |
김완석 | 경영학박사 | 중앙대학교 | 조세법이론 |
장태평 | 세무학박사 | 강남대학교 | 세무학 |
교과과정 | PDF보기 |
---|
박사 | 국문명 | 세무학박사 |
---|---|---|
영문명 | Doctor of Tax Science | |
석사 | 국문명 | 세무학석사 |
영문명 | Master of Tax Science |
교육학과는 교육에 대한 전문적 지식과 연구능력을 함양하고, 교육의 본질에 대한 올바른 관점과 교육현상에 대한 비평적 시각을 갖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육학과 석.박사 과정은 교육행정, 교육상담, 유아교육, 특수교육의 세부전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교육학의 공통적인 이해와 세부전공별 전문화를 동시에 추구한다.
사범대학 교육학 전공의 일반대학원 과정은 강남대학교의 창학이념인 ‘경천애인’을 바탕으로 지식정보화 시대를 이끌어 갈 수 있는 교육학 분야에 대한 전문지식과 연구능력을 바탕으로 교육학의 학문적인 발전 및 현장 교육을 개선시킬 수 있는 교육전문가의 양성을 목적으로 한다.
4개의 세부 전공(교육행정 교육상담 유아교육 특수교육)에는 공통전공 과목과 전공선택 과목이 구분되어 있다. 공통전공 과목은 4개 세부 전공 학위과정에서 공통으로 일정한 학점을 이수해야 한다. 전공선택 과목은 4개 세부 전공 학위과정에서 고유의 일정한 전공 학점을 이수해야 한다. 박사과정에는 이수해야 할 개별연구지도(Ⅰ Ⅱ Ⅲ)가 별도로 있다. 또한 특수교육 전공은 석.박사과정이 함께 수강하는 전공선택 과목도 운영되고 있다.
성명 | 학위 | 학위수여대학 | 전공 |
---|---|---|---|
김철주 | 교육학박사 | 미 · University of Georgia | 교육공학 |
이재욱 | 심신장애학박사 | 일 · 쯔꾸바대학교 | 정서 · 행동장애아 |
유제민 | 심리학박사 | 중앙대학교 | 임상심리학, 발달학 |
안귀여루 | 심리학박사 | 고려대학교 | 임상심리 |
김호연 | 철학박사 | 미 · University of Florida | 유아특수교육 |
최승숙 | 철학박사 | 미 · University of Illinois | 경도학습장애 |
손수민 | 교육학박사 | 미 · SUNY-Buffalo 대학교 | 유아교육 |
박희숙 | 문학박사 | 이화여자대학교 | 영아교육 · 교수학습방법 |
이희숙 | 교육학박사 | 서울대학교 | 교육경제학 |
김은하 | 특수교육학박사 | 이화여자대학교 | 정신지체아교육 |
전경희 | 철학박사 | University of Iowa | 교육측정, 통계 |
조안나 | 교육학박사 | University of North Texas | 유아교육 |
박선혜 | 문학박사 | 이화여자대학교 | 유아교육 |
송승민 | 교육학박사 | 단국대학교 | 중도, 중복 및 지체장애 |
김정연 | 교육학박사 | 숭실대학교 | 성인교육, 평생교육학 |
장정윤 | 문학박사 | 이화여자대학교 | 유아교육 |
최민식 | 특수교육학박사 | 단국대학교 |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
교과과정 | PDF보기 |
---|
박사 | 국문명 | 교육학박사 |
---|---|---|
영문명 | Doctor of Education | |
석사 | 국문명 | 교육학석사 |
영문명 | Master of Education |
사회복지는 인간의 가치와 존엄성을 전제로 사회정의의 필요성을 옹호하며 개인과 집단의 개별적 차이를 존중하고 보호하는 실천학문이다. 이에 강남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는 기독교 정신과 홍익인간의 이념을 바탕으로 사회복지의 핵심 가치인 인간존엄과 사회정의를 실천할 수 있는 사회복지 전문 인력 배출에 힘쓰고 있다. 사회복지 전문성에 대한 높은 사회적 기대와 사회복지서비스의 확장과 다양화로 현장과 학계에는 학문적 역량과 실천 역량을 갖춘 전문 인력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학문적 탐구 역량과 실천 역량을 고루 갖춘 사회복지 인재 배출을 위한 질 높은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사회복지학과에서는 사회복지전문가의 핵심역량으로 1) 사회복지를 학문적으로 탐구할 수 있는 역량 2) 사회복지의 가치와 윤리를 내재화 할 수 있는 역량 3) 이론과 실증 연구에 기반을 둔 실천 역량 4) 사회복지 실천 현장에서 요구되는 실무 역량 등으로 구성된다고 본다. 이에 본 학과에서는 실천 현장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체계의 서비스 개입을 위해 통합적 방법을 활용 할 수 있는 능력 있는 실천가와 사회복지 정책과 행정조직에 대한 계획과 실행은 물론 프로그램 평가와 정책들을 세우기위한 이론과 기술을 갖춘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과과정과 다양한 연구 활동의 기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단계 | 목표 | 교과예시 |
---|---|---|
1단계 | 사회과학의 패러다임과 논리적 사고 방식에 대한 이해 | 사회복지사상과이론 사회복지윤리와철학 사회과학연구방법론(신설교과 안) |
2단계 | 연구방법(질적 방법/양적 방법)에 대한 이해 및 적용 | 사회복지조사방법론 고급양적연구방법론 고급질적연구방법론 |
3단계 | 구체적인 연구 주제 선정 및 연구 설계와 실행을 위한 교과 | 연구계획서 및 프로젝트 관리 논문세미나 |
4단계 | 지도교수와의 개별 연구 수업 | 개별연구지도 |
단계 | 목표 | 교과예시 |
---|---|---|
1단계 | 사회문제에 대한 이해 | 빈곤론 문화적 다양성과 사회복지 가족폭력과 사회복지실천 중독과 사회복지 |
2단계 | 사회복지실천에 대한 이해 | 사회보장세미나 사회복지경제세미나 사회복지행정세미나 주거복지와 환경 장애인 정책 및 서비스 연구 비영리조직세미나 사례관리세미나 집단개입론 사회복지실천세미나 |
3단계 | 사회복지 현장 실습 | 현장실습세미나 1, 2 |
4단계 | 지도교수와의 개별 지도 | 개별연구지도 |
과정 | 이수 구분 | 과목명 | 학점 |
---|---|---|---|
석사과정 | 전공 필수 | 사회복지조사론, 사회복지현장실습 | 3 |
석·박사과정 | 전공 선택 | 가족복지론, 가족치료, 가족폭력과 사회복지실천 교정복지론 노인건강관리론, 노인복지론, 모금 및 후원개발, 복지국가론, 비교사회복지론, 빈곤론, 사례관리론, 사회보장론, 사회복지경제론, 사회복지사상과 이론,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 윤리와 철학, 사회복지자료분석론, 사회복지정책세미나, 사회복지행정론, 사회복지행정세미나, 산업복지론, 실습지도감독론, 아동복지론, 여성복지론, 장애인복지론, 정신보건사회복지론, 집단개입론, 청소년복지론, 프로그램개발및평가, 학교사회사업론, 지역사회복지론, 사회복지법제론, 사회복지 질적방법론, 임상사회사업, 국제사회복지론, 케어복지론, 정신건강론, 사회복지시설관리론, 사회복지 정보론, 여가복지론, 연구보고서, 교회사회복지론, 인간행동과 사회환경분석, 비영리조직론, 중독과 사회복지, 의료사회복지론, 삶과 죽음학, 문화적 다양성과 사회복지, 통일과 사회복지, 노인인권과 복지, 고용과 복지, 생태사회복지 | 3 |
박사 과정 | 전공 선택 | 가족복지정책 및 서비스연구, 개별연구지도, 고급가족치료기법, 고급노인복지세미나, 고급사회복지정책 및 서비스 연구, 고급사회복지조사방법론, 고급임상사회사업세미나, 고급지역사회조직론, 고급질적연구방법론, 노인복지정책 및 서비스연구, 논문, 논문세미나, 사회보험제도비교연구, 사회복지기관 운영 및 행정연구 사회복지정책 및 법제 비교 연구, 산업복지정책 및 서비스연구, 아동청소년 복지정책 및 서비스연구, 연구계획서 및 프로젝트 관리 의료정신보건정책 및 서비스연구, 자원봉사(복지)정책 및 서비스 연구, 장애인 복지 정책 및 서비스연구, 재활상담, 고급양적연구방법론, 자원봉사정책 및 서비스연구, 사회복지 프로그램평가, 고급사회복지실천세미나, 고급사회복지세미나, 주거복지와 환경 | 3 |
1) 사회복지현장실습은 전공필수 과목으로 운영한다.
2) 단, 사회복지현장실습은 사회복지사 1급 또는 2급 자격증을 취득한 자에게는 현장 경력 유무에 상관없이 모두 선택과목으로 지정하기로 함. (2018학년도 이후 입학생부터 소급 적용)
성명 | 학위 | 전공 |
김근홍 | 독. 함부르크대학교 철학박사 | 정책(노인복지, 사회복지법, 사회보험) |
김민정 | 미. 워싱턴대학교 | 청소년복지 |
김수완 |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박사 | 사회복지정책, 사회보장, 복지국가 |
박화옥 | 미. 위스콘신주립(메디슨)대학교 사회복지학박사 | 사회복지실천(노인복지, 조손가족) |
원지영 | 미. 시카고대학교 사회복지학박사 | 청소년복지 |
윤찬중 | 일. 북쿄대학교 사회학박사 | 정책(사회정책, 임종학, 케어복지) |
이준우 | 숭실대학교 사회사업학박사 | 임상(장애인복지, 교회사회복지실천) |
이홍직 | 미. 콜롬비아대학교 사회복지학박사 | 사회복지정책, 사회복지행정 |
이효선 | 독. 올덴버그대학교 철학박사 | 임상(인간발달이론, 질적연구) |
임정원 | 미.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 사회복지학 박사 | 임상(의료, 정신의료) |
임현승 | 미. 사우스캐롤라이나대학교 사회복지학박사 | 사회복지실천 |
전호성 | 일. 조오치대학교 사회복지학박사 | 사회복지정책(사회복지법/제도, 사회보장) |
최종혁 | 일. 조오치대학교 사회복지학박사 | 임상(질적연구, 지역사회) |
최희철 | 숭실대학교 사회복지학박사 | 정신보건사회복지 |
한동우 | 연세대학교 문학박사 | 사회복지행정, 비영리조직 |
교과과정 | PDF보기 |
---|
박사 | 국문명 | 사회복지학박사 |
---|---|---|
영문명 | 2025.08. 이전 졸업자 - Doctor of Social Welfare (D.S.W.) 2025.08. 이후 졸업자 - Doctor of Philosophy in Social Welfare (Ph.D. in Social Welfare) | |
석사 | 국문명 | 사회복지학석사 |
영문명 | Master of Social Welfare(M.S.W) |
국제통상학과는 국제무역의 이론과 정책, 국제경영 영역 및 국제상학 영역에 관해 전문지식을 양성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급변하는 국제경제, 통상 및 경영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국제통상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국제경제학, 국제경영학, 국제상학 등의 유기적인 학제적 편제로 국제통상분야의 유능한 전문가를 양성하고자 한다.
국제통상학과는 국제화시대에 부응하여 국제통상 및 국제지역과의 교류에 관한 이론 및 실무를 심도있게 연구하고 교수하여 인류공영의 이상실현에 기여하고, 한국의 국제화를 통하여 국가와 사회발전에 능동적으로 주도할 수 있는 역량있는 국제통상전문가 및 지도자적 인재를 양성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국제통상학과에서는 대학원 석사학위 과정을 두고 다양한 전공과목을 개설하여 학생들에게 폭 넓은 국제전문지식을 배양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 놓고 있으며, 교과과정은 국제통상 및 해외지역전문가로서 요구되는 교과목들로 편성하여 이론과 실무를 조화시킨 집중적인 전문교육을 실시한다.
국제통상학과는 국제무역이론 영역, 국제경영 영역 및 국제상학 영역으로 세분화하고, 분야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국제통상학과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목표를 둔다.
성명 | 학위 | 학위수여대학 | 전공 |
---|---|---|---|
이우채 | 경영학박사 | 프. UNIV. de Nice Sophia Antipolis | 국제마케팅 |
박근호 | 경영학박사 | 서강대학교 | 국제경영 |
임성철 | 경영학박사 | 성균관대학교 | 무역경영 |
박정준 | 국제학박사 | 서울대학교 | 국제통상법 및 정책 |
김현도 | 공학박사 | 한국과학기술원(KAIST) | 경영공학, 금융, 녹색금융 |
교과과정 | PDF보기 |
---|
석사 | 국문명 | 국제통상학석사 |
---|---|---|
영문명 | Master of Science in International Trade |
수화언어통번역학과는 수화언어 이론과 수화언어 사용능력을 갖춘 수화언어 통번역 전문가와 한국수어교원을 양성하는 학과이다. 이를 위해 수어학, 농학, 농문화, 농사회, 수어통역, 수어번역, 수어교육에 대한 이론 및 실무 지식을 배양하여 해당 분야에서 전문가로서의 역량강화를 도모하고자 한다.
※ 전공 : 수화언어통번역학전공, 수화언어교육학전공
수화언어통번역학과는 수화언어에 대한 학문적 이해를 높이고 수화언어교육에 대한 실제적 연구를 바탕으로 수화언어 이론과 수화언어 사용능력을 갖춘 수화언어 통번역 전문가와 한국수어교원을 양성함을 목적으로 한다.
수화언어통번역학과는 세부전공으로 수화언어통번역학 전공과 수화언어교육학 전공이 있으며, 전문 수어통역과 수어번역, 수어교육에 집중된 교육과정으로 운영된다. 1~2학기에는 공통 기본교과목을 중심으로, 3~4학기에는 공통과목과 각 전공별 심화교과목을 중심으로 과목이 개설된다. 전공 이수는 입학 시 본인이 신청한 세부전공에 따르되 논문 6학점을 포함해 전체 최소 30학점 이상 이수하여야 한다. 단, 수화언어교육학 전공은 18학점 이상(학부 비전공자는 24학점 이상)을 해당 전공과목에서 이수하여야 하며, 세부 이수과목은 국립국어원 ‘한국수어교원 자격’ 학위과정 심의결과에 의거한다.
2급
1급
과정 영역 | (전문)학사 학위 | 석 박사 학위 |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수화언어통번역학과 | |
---|---|---|---|---|
전공 | 학부전공 | 학부비전공 | ||
1. 언어 및 교육 기초 | 3학점 | 6학점 | 6학점 | 6학점 |
2. 한국 수어학 | 6학점 | |||
3. 한국수어교육론 | 12학점 | 6학점 | 9학점 | 9학점 |
4. 한국수어 실제 | 9학점 | - | 3학점 | 6학점 |
5. 농문화와 농사회 | 3학점 | 3학점 | 3학점 | 6학점 |
6. 한국수어교육실습 | 3학점 | 3학점 | 3학점 | 3학점 |
합계 | 36학점 | 18학점 | 24학점 | 30학점 |
성명 | 학위 | 학위수여대학 | 전공 |
---|---|---|---|
이준우 | 사회복지학박사 | 숭실대학교 | 장애인복지, 재활복지 |
김호연 | 철학박사 | University of Florida | 시각장애교육, 유아특수교육 |
최승숙 | 철학박사 |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n | 학습장애교육 |
박재은 | 철학박사 | University of Califormia, Los Angeles | 응용언어학 |
강유정 | 문학박사 | 고려대학교 | 현대문학비평 |
김수완 | 사회복지학박사 | 서울대학교 | 사회보장분야 |
최희철 | 사회복지학박사 | 숭실대학교 | 사회사업방법론(정신보건) |
김행숙 | 문학박사 | 고려대학교 | 현대문학(시창작) |
교과과정 | PDF보기 |
---|
석사 | 국문명 | 문학석사 |
---|---|---|
영문명 | Master of Arts(M.A.) |
국제경제무역학과는 빠르게 급변하고 있는 국제경제·무역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국제경제 및 국제무역 분야에 필요한 국제적인 마인드를 가진 글로벌 리더를 양성하는 학과이다. 국제경제무역학과는 일반대학원 박사학위과정과 국 제대학원 석사학위과정을 각각 두고 있으며, 다양한 전공과목을 개설하여 국제경제 및 국제무역에 필요한 이론을 기초로 실무형 인재를 양성하는데 주안점을 둔다.
성명 姓名 | 학위 学位 | 학위수여대학 学位授予大学 | 전공 专业 |
---|---|---|---|
서정우 | 경제학박사 | Renmin University of China(중국) | 경제학, 재정학 |
LI XUE CHENG | 경제학박사 수료 | 성균관대학교 | 국제경제학 |
임성철 | 경영학박사 | 성균관대학교 | 무역경영 |
정진용 | 경제학박사 | 서울대학교 | 미시경제 |
차혜경 | 경제학박사 | 고려대학교 | 국제금융 |
교과과정 教育课程表 | PDF보기 |
---|
박사 博士课程 | 국문명 韩文学位名 | 국제경제학박사 |
---|---|---|
영문명 英文学位名 | Docter of International Economics |
최근 IoT, 인공지능, 빅데이터, 자율주행 자동차, 로봇 등 4차산업혁명을 주도하는 산업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이를 구현하기 위한 센서 통신 및
프로세서 등이 4차산업혁명 시대의 역량을 좌우할 핵심기술로 부각하고 있다. 이미 애플, 구글, 아마존 등은 자체 R&D와 함께 적극적인 유망기업의
인수를 통하여 반도체 역량 확보에 매진하고 있으며, 소프트뱅크는 영국 모바일 반도체 기업인 ARM을 인수하는 등, 각국에서 전방산업의
핵심인 반도체의 연구개발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4차산업의 핵심인 시스템과 이를 이루기 위한 하드웨어의 꽃인 시스템 및 반도체의
인력양성을 위해 “시스템및반도체융합공학과”가 설립되었다.
- 4차산업혁명 시대에 부응하는 융·복합 기술(산업)의 현장 전문인력 양성
오늘날 4차산업 시대는 초연결과 초지능의 융합으로 표현되며, 이에 필요한 핵심기술은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자율주행차, 빅데이터, 5G (5세대 이동통신)로 대변할 수 있으며 새로운 산업 시대에는 디바이스에서 시스템까지 무수히 많은 반도체가 사용되며, 이는 4차산업 시대에 없어서는 안 될 쌀과 같은 존재이다. 시스템및반도체융합공학과의 담당 교수진은 ICT융합공학부의 전자공학전공 교수진과 산학협력중점교원(삼성전자 반도체에서 25년 이상의 실무 경력자로 이론과 실무를 겸비)을 중심으로하여 미래 산업수요 및 부가가치 창출을 주도할 인재 양성의 이노-인규베이터를 구축하고자 한다.
- 혁신기술 및 창의성 기반의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연구인력 양성
사회가 “초연결 및 융합”의 패러다임 전환으로 현실과 가상 업종과 업종, 기술과 기술 간의 경계가 없는 연결과 융합을 통해 새로운 시스템 응용기술을 창조해 내는 것이 시대의 요구이며 이에 부응하여 정부에서는 미래의 반도체 생태계를 선점하기 위하여, 시스템 및 반도체에 대한 다양한 정책과 투자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다. 산업구조가 급격히 변화하고 예측 불가한 환경이 지속되면서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반도체와 시스템의 융·복합 기술기반의 창의적 연구 활동과 연구인력 양성에 전력을 다하고자 한다.
- 본 학과는 반도체 강국인 대한민국의 소자업체, 장비 제조업체 등이 절실히 필요로 하는 시스템 및 반도체의 생산 설비의 유지/보전을 담당할
고급 전문 인력양성을 목표로 함
- 본 학과는 글로벌 소자 / 장비 / 부품 제조업체에서 생산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 시스템 / 설비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최상위 전문인력으로까지
성장할 수 있는 바탕을 가진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함
- 본 학과는 과학적 / 공학적 지식에 근거하여, 시스템의 이해를 도모하고, 시스템 및 반도체의 다양한 응용에 필요한 반도체 전공정 / 반도체 후공정의
이론적 원리를 이해하는 능력과 사고력을 키움
- 본 학과는 전자패키지와 시스템 간 Hardware와 Software를 이해하고 시스템 모듈 및 패키지의 설계가 가능한 기술인력을 양성
- 본 학과는 미래의 4차산업에서 필요한 시스템반도체를 연구 및 개발하고, 제안할 수 있는 진취적이고 긍적적인 기술인력을 양성
- 타 대학과의 차별성
타 대학 관련 전공은 시스템과 반도체 개개의 분야에 대한 학문적 기반의 교육이지만, 본교는 관련 분야의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ICT융합공학부 전자공학전공 교수진과 산학협력중점교수(삼성출신)진으로 교원을 구성하여 현실적이고, 실무 및 기업에 필요한 실사구시(實事求是) 인재를 양성하는 교육을 지향
- 본교 전공의 특성 분야
- 시스템 및 반도체 분야
· 반도체를 구성하는 Si Base 반도체, 소재, 부품, 장비에 대한 이해와 설계 능력 함양
· 반도체 전공정 및 후공정의 신소재 및 신공정에 대한 연구
· 이종접합 반도체와 시스템 응용기술
· 시스템과 PIM(Process In Memory)분야의 새로운 시스템 반도체 패러다임 기술연구
- 시스템 및 반도체 융합 분야
· 전기자동차, 자율주행, 인공지능, IoT 등의 4차산업 연계 분야
· 다양한 2.5차원 및 3차원 반도체를 활용한 시스템반도체 수요시장 응용분야
· 국내 유일의 전자패키지분야의 연구와 연계된 맞춤형 연구개발 및 연구인력 양성
성명 | 학위 | 학위수여대학 | 전공 |
---|---|---|---|
서경환 | 공학박사 | KAIST | 초고주파 및 안테나 |
김구성 | 공학박사 | 미. Rensselaer Polytechnic Institute | 반도체 및 전자재료 |
김무진 | 공학박사 | 포항공과대학교(POSTECH) | 정보통신융합전공 |
황선령 | 공학박사 | 한국해양대학교 | 나노반도체 |
김창현 | 공학박사 | 한양대학교 | 제어 |
신승우 | 공학박사 | KAIST | 반도체 |
서오권 | 공학박사 | 아주대학교 | 반도체소자 |
김지훈 | 공학박사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 정보통신융합전공 |
이채준 | 공학박사 | KAIST | 통신및회로설계 |
교과과정 | PDF보기 |
---|
박사 | 국문명 | 공학박사 |
---|---|---|
영문명 | Ph.D. in Systems and Semiconductor Convergence Engineering | |
석사 | 국문명 | 공학석사 |
영문명 | M.S. in Systems and Semiconductor Convergence Engineering |
본 학과는 컴퓨터 분야의 주요 개념들 및 최신 이론을 습득하여 컴퓨터학도로서의 전문가 자질을 함양시키고자 한다. 컴퓨터공학의 다양한 분야에 대한 기초 확립을 통해 응용 분야에의 활용 능력을 다지고 새로운 분야로 연구 개발 능력을 배양한다. 본 학과는 이를 통해 21세기의 4차 산업혁명 사회에서 요구하는 이론 및 원리에 충실한 교육과 세미나 그리고 실험 실습을 통하여 정보 전문가로서의 자질을 극대화하며, 미래사회를 선도적으로 이끌어 갈 컴퓨터 분야에 창조적 능력을 갖춘 전문 개발/연구 인력과 정보화 산업을 육성, 발전시킬 수 있는 전문 관리자를 양성하고자 한다.
■ 4차산업혁명 시대의 급변하는 기술에 대한 신산업주도형 고급 SWㆍAI 연구형 인재 양성
■ 신산업 분야의 융합을 위한 최신 교육, 연구, 개발 환경 구축
■ 학부생 참여 활성화를 통한 학부-대학원 연계 통합과정을 통한 교육 강화 및 실전형 인재 양성
인공지능, 빅데이터, 융합보안에 대한 기초 및 전문지식을 학습하여 여러 사회 문제의 해결 방안을 탐색하고 미래 첨단 신기술 분야 산업체가 필요로 하는 인재를 양성하여 인류 사회 및 국가 발전에 공헌하는 참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첨단 컴퓨터공학 지식을 이용하여 소프트웨어, 시스템 및 서비스를 창의적으로 기획, 개발 및 운영할 수 있는 전문인력 양성
- 컴퓨터공학 분야의 기초 지식과 이론을 교육하여 IT산업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신기술을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공학도 양성 (기본능력 배양)
- 컴퓨터공학 분야의 첨단 학문과 기술을 교육하여 산업체에서 바로 활용 가능한 소프트웨어 분야의 핵심 기술 인력 양성 (산업체 수요 부응)
- 빅데이터, 인공지능, 시스템/미디어 소프트웨어, IoT 클라우드 등의 교육을 통하여 차세대 성장 동력 핵심 인력 양성(국가 성장동력 부응)
- 글로벌화 하면서 급변하는 IT 환경 속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국제 감각을 갖춘 공학도 양성 (국제화 부응)
- 산업체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한 수요자 중심의 교육을 실시하여 고급 전문 기술 인력 양성 (고급 전문능력 배양)
SWㆍAI 분야의 고급 지식과 기술을 학습, 연구역량을 보유한 고급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과정 운영
성명 | 학위 | 학위수여대학 | 전공 |
---|---|---|---|
강현우 | 박사 | 연세대학교 | 디지털신호처리 |
김가영 | 박사 | 동국대학교 | 컴퓨터공학 |
배성근 | 박사 | 숭실대학교 | 신호처리 |
주해종 | 박사 | 명지대학교 | 컴퓨터공학 |
최권택 | 박사 | 연세대학교 | 컴퓨터 비전 및 패턴인식 |
최웅 | 박사 | Tokyo Institute of Technology | 지능시스템과 |
최인엽 | 박사 | 고려대학교 | 컴퓨터공학 |
안정호 | 박사 | 연세대학교 | 컴퓨터과학 |
박정수 | 박사 | 숭실대학교 | 정보보호 |
교과과정 | PDF보기 |
---|
박사 | 국문명 | 공학박사 |
---|---|---|
영문명 | Ph.D. in Computer Engineering | |
석사 | 국문명 | 공학석사 |
영문명 | Bachelor of Engineering |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건축공학과는 건축과 관련된 ICT융복합 기술과의 복잡성과 다변성을 이해하고 해결할 수 있는 전문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설립되었습니다. 첨단 건축기술과 지속 가능한 건축을 위한 설계기술의 습득을 통하여 미래사회의 건축산업을 선도할 전문가를 배출하고 있습니다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건축공학과는 미래 건축산업을 선도할 창의적이고 전문적이면서 복지와 ICT융합을 선도하여 미래사회에 대응하는 인간과 사회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창의적 문제해결, 지속가능성 구현,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인재 양성
- 강남 NEW VISION 2025+에서 제시된 대학비전에 부합하는 인재양성
- 복지와 ICT융합을 선도하여 미래사회에 대응하는 인간과 사회에 대한 이해
- 건축산업과 복지산업의 융합수요 증가에 능동적으로 대처
- 미래의 ICT융복합 건축을 선도하는 전문인 양성
- 전통적인 건축공학분야에 대한 지식의 심화
- 기존의 건축공학분야 뿐만 아니라 컴퓨터 및 정보통신 기술을 적극 수용
- 스마트빌딩 및 스마트시티에 대한 이해를 통한 미래건축 기술의 융합
성명 | 학위 | 학위수여대학 | 전공 |
---|---|---|---|
김경호 | 박사 | 건국대학교 | 건축계획 |
윤준선 | 박사 | 연세대학교 | 건축시공 |
하상수 | 박사 | 한양대학 | 건축구조 |
이성찬 | 박사 | 한양대학교 | 건축환경 |
김무진 | 박사 | 포항공과대학 | 반도체공학 |
최웅 | 박사 | Tokyo Institute of Technology | 가상현실 |
김창현 | 박사 | 한양대학 | 제어시스템 |
교과과정 | PDF보기 |
---|
박사 | 국문명 | 공학박사 |
---|---|---|
영문명 | Doctor of Philosophy | |
석사 | 국문명 | 공학석사 |
영문명 | Master of Scien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