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복합대학원 신학과는 강남대학교의 창학정신인 평신도신학, 초교파 정신, 자주적 신학을 바탕으로 기독교 신학의 학술적인 이용과 그 학문적 방법을 철저히 교수 연구하여 기독교의 지도자적 인격을 함양하고 독창적인 능력을 개발하여 한국 교회와 사회에 이바지할 교회지도자를 양성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 강남대학교의 창학정신을 바탕으로 기독교 신학의 학술적인 이용과 그 방법을 교수 연구하여
기독교 지도자를 양성하고 능력을 개발하여 한국교회와 사회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석사과정은 4학기가 소요되며, 성서신학, 이론신학, 실천신학을 전공할 수 있다.
분야 | 성명 | 학위 | 학위수여대학 | 전공 |
---|---|---|---|---|
성서신학 | 박종수 | 철학박사 | 미. DREW. UNIV | 구약신학 |
박노식 | 철학박사 | 미. Southern Baptist Theological Seminary | 신약신학 | |
이론신학 | 백용기 | 신학박사 | 독. Ruhr-Universitat Bochum | 역사신학 |
실천신학 | 박종수 | 철학박사 | 미. DREW. UNIV | 구약신학 |
박노식 | 철학박사 | 미. Southern Baptist Theological Seminary | 신약신학 | |
백용기 | 신학박사 | 독. Ruhr-Universitat Bochum | 역사신학 |
교과과정 | PDF보기 |
---|
석사 | 국문명 | 신학석사 |
---|---|---|
영문명 | Master of Theology(Th. M) |
강남대학교 창학정신을 바탕으로 교육하여, 한국 교회의 목회와 선교를 위한 지도자를 양성하여 교회와 사회에 이바지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목회학석사 과정은 목회자로서 습득해야 할 신학지식을 심도 있게 연구 할 뿐만 아니라,
전문적인 목회실습을 통해 현장목회를 위한 실제적 지식을 연마한다.
- 강남대학교의 창학이념에 따라 평신도신학 및 교회일치를 목회현장에서 구현하며 한국교회의 건전한 발전을 위한 신학적 토대를 마련한다.
3년(6학기) 신학전공(M. Div)자의 이수학점(논문포함 84학점)은 다음과 같다.
성서신학 | 성명 | 학위 | 학위수여대학 | 전공 |
---|---|---|---|---|
성서신학 | 박종수 | 철학박사 | 미. DREW. UNIV | 구약신학 |
박노식 | 철학박사 | 미. Southern Baptist Theological Seminary | 신약신학 | |
이론신학 | 백용기 | 신학박사 | 독. Ruhr-Universitat Bochum | 역사신학 |
실천신학 | 박종수 | 철학박사 | 미. DREW. UNIV | 구약신학 |
박노식 | 철학박사 | 미. Southern Baptist Theological Seminary | 신약신학 | |
백용기 | 신학박사 | 독. Ruhr-Universitat Bochum | 역사신학 |
교과과정 | PDF보기 |
---|
석사 | 국문명 | 목회학석사 |
---|---|---|
영문명 | Master of Divinity(M. Div) |
목회학석사 과정은 목회자로서 습득해야 할 신학지식을 심도 있게 연구 할 뿐만 아니라,전문적인 목회실습을 통해 현장목회를 위한 실제적 지식을 연마한다.강남대학교의 창학이념에 따라 평신도신학 및 교회일치를 목회현장에서 구현하며 한국교회의 건전한 발전을 위한 신학적 토대를 마련한다.
또한, 급변하는 사회 속에 인간성마저 상실해가는 각박한 현실 속에 학원주변에서 발생하는 우려되는 모습은 방황하는 우리들의 청소년들의 모습이라고 보며, 또한 한국경제에 닥친 어려움은 이 사회를 지탱하여 왔던 가족관마저 흐트러지게 하였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은 오늘의 교회가 짊어져야 할 사명이라고 보며, 이를 위해 교회에서 헌신하고 있는 목회자, 교회학교 교사 및 평신도 사역지도자들의 사역을 위한 전문화와 능력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 대학원수준의 상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 시대에 필요로 하는 목회상담지도자를 양성코자 한다.
- 강남대학교의 창학이념을 바탕으로 신학적이고 상담학적인 방법을 교육하여 사회와 교회에 이바지할 지도자 양성을 목적으로 한다.
3년(6학기) 신학전공(M. Div)자의 이수학점(논문포함 84학점)은 다음과 같다.
성서신학 | 성명 | 학위 | 학위수여대학 | 전공 |
---|---|---|---|---|
성서신학 | 박종수 | 철학박사 | 미. DREW. UNIV | 구약신학 |
박노식 | 철학박사 | 미. Southern Baptist Theological Seminary | 신약신학 | |
이론신학 | 백용기 | 신학박사 | 독. Ruhr-Universitat Bochum | 역사신학 |
실천신학 | 박종수 | 철학박사 | 미. DREW. UNIV | 구약신학 |
박노식 | 철학박사 | 미. Southern Baptist Theological Seminary | 신약신학 | |
백용기 | 신학박사 | 독. Ruhr-Universitat Bochum | 역사신학 |
교과과정 | PDF보기 |
---|
석사 | 국문명 | 목회학석사 |
---|---|---|
영문명 | Master of Divinity(M. Div) |
강남대학교는 국내 최초로 1953년 사회사업학과를 신설하여 인간의 가치와 존엄성을 바탕으로 21세기 더불어 사는 복지사회를 선도해 나갈 사회복지전문가 양성에 힘쓰고 있습니다. 이 같은 전통을 바탕으로 융복합대학원 사회복지학과는 사회복지사와 사회복지분야 종사자들의 전문성을 고양하고, 변화하는 사회복지환경에 부응하는 전문적 실천역량과 연구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설립된 학과입니다.
- 사회복지 실천현장의 변화와 수요를 반영하는 교과과정 제공으로 현장전문가 리더를 양성한다.
-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요구되는 과학적인 실천과 윤리적 실천 역량을 갖춘 전문가를 양성한다.
- 사회서비스 행정 분야와 사례관리 분야의 최신 지식과 기술을 갖춘 사회복지전문가를 양성한다.
사회서비스행정분야 | 사례관리분야 |
---|---|
교과목 | 교과목 |
NGO와 NPO 사회서비스 조직경영 모금 및 후원개발 사회복지기관 마케팅 국제사회복지기관의 이해 사회복지기관 운영 및 행정연구 사회복지경제론 사회서비스 행정론 사회서비스 기획의 실제 사회서비스 평가 지역사회 환경과 비지니스 | 사례관리 연구 인권과 사례관리 사례관리와 지역사회파트너십 사례관리 심화실습 사례관리와 상담기술 특수세팅에서의 사례관리 |
※ 본 교육과정은 지속적인 연구과정을 거쳐 변화와 전문성 심화의 가치를 이루어나갈 것입니다.
성명 | 학위 | 전공 |
김근홍 | 독. 함부르크대학교 철학박사 | 정책(노인복지, 사회복지법, 사회보험) |
김민정 | 미. 워싱턴대학교 사회복지학박사 | 임상(아동청소년, 가족) |
김수완 |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박사 | 사회복지정책, 사회보장, 복지국가 |
김혜성 | 미. 올바니뉴욕주립대학교 사회복지학박사 | 임상(아동학대, 정신보건) |
박화옥 | 미. 위스콘신주립(메디슨)대학교 사회복지학박사 | 사회복지실천(노인복지, 조손가족) |
원지영 | 미. 시카고대학교 사회복지학박사 | 아동·청소년 복지, 사회복지정책 |
윤찬중 | 일. 북쿄대학교 사회학박사 | 정책(사회정책, 임종학, 케어복지) |
이원숙 | 이화여자대학교 문학박사 | 임상(사회복지실천, 가족복지) |
이준우 | 숭실대학교 사회사업학박사 | 임상(장애인복지, 교회사회복지실천) |
이홍직 | 미. 콜롬비아대학교 사회복지학박사 | 사회복지정책, 사회복지행정 |
이효선 | 독. 올덴버그대학교 철학박사 | 임상(인간발달이론, 질적연구) |
임정원 | 미.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 사회복지학 박사 | 임상(의료, 정신의료) |
임현승 | 미. 사우스캐롤라이나대학교 사회복지학박사 | 사회복지실천 |
전호성 | 일. 조오치대학교 사회복지학박사 | 사회복지정책(사회복지법/제도, 사회보장) |
조소영 | 서울대학교 보건학박사 | 정책(주거복지, 산업복지, 정신건강증진) |
최종혁 | 일. 조오치대학교 사회복지학박사 | 임상(질적연구, 지역사회) |
최희철 | 숭실대학교 사회복지학박사 | 정신보건사회복지 |
한동우 | 연세대학교 문학박사 | 사회복지행정, 비영리조직 |
교과과정 | PDF보기 |
---|
1) 사회복지현장실습은 전공필수 과목으로 운영한다.
2) 단, 사회복지현장실습은 사회복지사 1급 또는 2급 자격증을 취득한 자에게는 현장 경력 유무에 상관없이 모두 선택과목으로 지정하기로 함. (2018학년도 이후 입학생부터 소급 적용)
석사 | 국문명 | 사회복지학 석사 |
---|---|---|
영문명 | Master of Social Welfare (M.S.W) |
부동산학은 부동산현상에 대한 정확한 인식을 기하고 바람직한 부동산활동을 전개해 나가기 위해 필요한 부동산의 기술적, 경제적, 법률적 측면을 연구하는 종합응용과학이다. 특히, 부동산관리, 투자, 금융, 개발, 컨설팅 등 부동산활동의 체계적인 수행 원리와 기술을 개발 구축하는 분야로서 자원의 흐름을 이해하여 부동산학의 지식기반을 마련한다. 따라서 본 학과는 이를 토대로 부동산의 효율적인 관리에 기여할 부동산분석의 우수한 전문인을 양성하고 있다.
토지 및 건물 등의 부동산은 그 종류가 다양하며 경영, 개발, 거래활동의 주체 역시 다양하기 때문에 부동산과 관련된 법률적 · 경제적 · 기술적 활동도 복잡하게 얽혀있다. 부동산학의 전공필수 과목은 부동산학원론이며, 전공선택과목으로 부동산정책론, 부동산법론, 부동산경제론, 부동산사법, 부동산투자론, 부동산평가론, 부동산개발론 등의 과목이 있어서 졸업시까지 석사과정은 총 8과목(24학점), 연구과정은 총 4과목(12학점)을 이수해야 하고, 재학 중 관련 공·사 기업체 및 관공서, 외국유명대학 및 기업 등에 견학 실습토록 되어있다.
성명 | 학위 | 학위수여대학 | 전공 |
---|---|---|---|
노태욱 | 행정학박사 | 서울대학교 | 부동산평가, 부동산개발,부동산입지 |
김영곤 | 경영학박사 | 미. The UNIV. of Georgia | 부동산보험, 부동산투자,부동산금융 |
서충원 | 도시계획학박사 | 서울시립대학교 | 도시계획과 부동산개발, 부동산개발, 부동산정책 |
박혁서 | 경제학박사 | 교토대학교 (일. 京都大學) | 경제동태분석 |
이제우 | 법학박사 | 러.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대학교 | 민법 |
교과과정 | PDF보기 |
---|
석사 | 국문명 | 부동산학석사 |
---|---|---|
영문명 | Master of Real Estate Science |
오늘날 세계화, 정보화시대의 행정은 “국정관리” 활동으로 이해됨으로써 행정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은 국정관리에 걸 맞는 폭넓은 학문을 할 수 있고, 행정학을 통해 습득한 이러한 지식과 기술은 기업경영에도 그대로 응용된다. 따라서 이론과 실제를 겸비한 행정학의 교과과정을 통해서 정부조직 및 기업체의 관리자들에게 필요한 자질을 함양할 수 있고, 급변하는 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본 학과는 석사과정으로써 주요 교과내용은 행정조직의 관리에 기본적으로 필요한 행정학 일반이론과 지방정부 관리에 필요한 지방행정 분야의 지식과 기술을 연구한다. 그리고 지도자들에게 특별히 요구되는 리더십이론과 행정윤리론을 연구한다. 또한 보다 심도 있는 학문연구를 위한 연구방법론 및 행정학세미나 등을 다룬다. 졸업에 필요한 이수학점은 총 8과목(24학점)을 이수하도록 되어있다.
성명 | 학위 | 학위수여대학 | 전공 |
---|---|---|---|
김주환 | 행정학박사 | 건국대학교 | 정책학 |
김명환 | 행정학박사 | 미. Virginia PolytechnicInstitute & State University | 조직론 |
이맹주 | 행정학박사 | 미. Virginia PolytechnicInstitute & State University | 공공관리론 |
최유진 | 행정학박사 | Cleveland State Univ. | 도시행정학 |
교과과정 | PDF보기 |
---|
석사 | 국문명 | 행정학석사(사회적경제전공) |
---|---|---|
행정학석사(행정학전공) | ||
영문명 | Master of Public Administration |
현대사회의 법률서비스는 국가ㆍ사회 전 분야에 걸쳐 파급되고 있으며, 법률서비스 제공자 역시 기존 법조인 또는 준 법조인뿐만 아니라 공무원, 공ㆍ사기업 법무담당자 등 매우 광범위하게 확대되고 있다. 이에 법학과는 각 법 분야별로 이론과 실무를 접목한 법률 교육을 통하여 다양한 법률서비스 수요에 효율적으로 대응하는 전문가를 양성하고 있다.
법학과는 공법분야, 형사법분야, 민사법분야, 기업법분야의 이론과 실무 교과과정을 편성하고 있고, 심화연구를 위해 전 과정을 세미나, 실무연습, 사례발표, 워크숍 등으로 운영한다. 학위수여를 위해서는 전공교과목 24학점(8과목), 논문연구 6학점 등 총 30학점을 이수한 후, 종합시험을 통과하고 학위논문을 제출하여야 한다.
성명 | 학위 | 학위수여대학 | 전공 |
---|---|---|---|
이회규 | 법학박사 | 독. Univ. Beyreuth | 민사법, 친족법, 상속법 |
박석정 | 법학박사 | 한양대학교 | 형법, 형사소송법, 형사정책 |
유주선 | 법학박사 | 독. Univ. Marburg | 회사법, 보험법, 금융법, 스포츠법 |
윤석진 | 법학박사 | 중앙대학교 | 헌법, 규제행정법, 지방자치법,?사회보장법 |
교과과정 | PDF보기 |
---|
석사 | 국문명 | 법학석사 |
---|---|---|
영문명 | Master of Law |
경영학과는 기업 활동을 연구하는 사회과학의 한 분야로서 현대 산업사회의 제반 문제를 합리적으로 분석 처리하고, 국가와 사회에 봉사할 수 있는 경영관리자의 양성을 위하여 경영관리 전반에 관한 깊은 이론과 새로운 기법을 연구 · 습득케 하여 유능하고 창의력 있는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
성명 | 학위 | 학위수여대학 | 전공 |
---|---|---|---|
허남일 | 경영학박사 | 성균관대학교 | 마케팅 |
이상석 | 경영학박사 | 고려대학교 | 생산 및 계량분석 |
민상훈 | 경영학박사 | 고려대학교 | 국제경영 |
전병찬 | 경영학박사 | 고려대학교 | MIS |
오세진 | 경영학박사 | 연세대학교 | 생산 및 서비스 |
한준구 | 경영학박사 | 고려대학교 | 인사조직 |
방명하 | 경영학박사 | 미.Georgia State UNIV. | MIS |
윤종수 | 경영학박사 | 고려대학교 | MIS |
고인곤 | 경영학박사 | 고려대학교 | 마케팅 |
박종혁 | 경영학박사 | 한국외국어대학교 | 인사 · 조직 |
권오진 | 경영학박사 | 서강대학교 | 회계 |
허경선 | 경영학박사 | 고려대학교 | 회계 |
교과과정 | PDF보기 |
---|
석사 | 국문명 | 경영학석사 |
---|---|---|
영문명 | Master of Business Administration |
고령화 사회가 진행되어감에 따라 최근산업현장에서 다양한 실버산업의 전문 인력을 필요로 하는 수요에 발맞춰 실버건강관리 전공과 노후자산관리 전공의 두 전공을 기초로 하여 개설하였고, 실버건강관리 전공자들은 본 과정을 통하여 실버관련 의료업체 및 보건기관에서의 전문직 종사자로서 일할 수 있고, 노후자산관리 전공자들은 CFP, CFA과정 등 전문자산관련 자격증 시험에 대비한 교육을 이수받음으로서 향후 은행, 증권, 보험 등의 금융기관에서 노후자산관리에 관한 전문직 종사자로서 일할 수 있는 것을 목표로 교육을 한다.
- 실버산업(고령친화산업)은 노인들이 사용하기에 편리하고 유익하며 안전한 제품과 서비스를 생산하는 산업이다.
- 실버산업학과 석사과정에서는 고령친화적인 제품 및 서비스를 개발하고 제공하는데 필요한 전문적인 역량을 갖춘
현장 맞춤형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실버산업의 이슈 및 실버산업 수행에 필요한 전문적 지식 및 태도를 함양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이를 위한 석사과정은 4학기동안 이수하도록 되어있다
세부전공 | 세부교과목(선택과목) | 공통과목(선택과목) |
---|---|---|
실버산업전공 (Major of Senior Business) | 실버산업마케팅 | 실버산업개론 |
실버산업과 창업 | 실버산업금융개론 | |
시니어소비자 행동론 | 연구조사방법론 | |
실버주거요양산업론 | 노인과 가족상담 | |
벤처창업과 요양산업 | 치매와 노인요양서비스 | |
요양기관경영전공 (Major of Management of Long-Term Care Facilities) | 요양기관 경영마케팅 | 요양기관 재무 및 관리회계 |
요양기관 재무 및 관리회계 | 실버산업사례연구 | |
요양기관 인사관리 | 노인건강관리론 | |
요양기관 프로그램개발과 평가 | 노후생활설계와 상담 | |
요양서비스 풀질관리방법론 | 캡스톤디자인사업계획서작성 | |
고령친화산업정책분석 |
* 개설되는 과목은 학기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일부 과목은 융복합대학원 과목으로 대체될 수 있습니다.
교과과정 | PDF보기 |
---|
석사 | 국문명 | 실버산업학 석사 |
---|---|---|
영문명 | Master of Age- friendly Industry |
피부뷰티서비스경영, 헤어뷰티서비스경영, 메이크업서비스경영 및 네일 뷰티서비스경영, 총괄적 뷰티서비스경영 등을 포함한 국제뷰티서비스경영 전 영역별 기본 개념과 조직학적 서비스 경영형태를 파악하여 국제뷰티서비스경영 리더로서의 자질을 함양한다.
본 학과는 국제뷰티서비스경영학의 개요, 국제뷰티서비스경영의 역사, 학과별 국제뷰티서비스경영의 기본 개념에 대한 이해 및 서비스경영적으로 다루어야 할 이론과 서비스경영 영역에 대한 학습, 국제뷰티서비스경영 리더로서의 인사조직학적, 마케팅 서비스경영의 직무 등을 연구 학습한다. 이를 통해 뷰티 영역에 대한 전반적인 서비스경영의 이해와 더불어 국제뷰티서비스경영 리더로서의 자세와 직무를 적극 배양한다.
- 국제뷰티서비스경영의 기본 개념에 대한 이해 및 서비스경영학적으로 다루어야 할 이론과 서비스경영 영역에 대한 학습,
국제뷰티서비스경영 리더로서의 인사조직학적, 마케팅 서비스경영의 직무 등을 연구 학습한다.
이를 통해 뷰티 영역에 대한 전반적인 서비스경영의 이해와 더불어 국제뷰티서비스경영 리더로서의 자세와 직무 능력 배양을 교육 목표로 한다.
- 경천애인을 바탕으로 국제적 교양을 갖춘 뷰티서비스경영 분야의 전문가를 양성하여 뷰티산업의 지식과 경영전문인의 참인재를 발굴하고
미래 사회를 선도하는 혁신 창의적 인재를 양성함을 교육 목표로 한다.
교육과정 | PDF보기 |
---|
성명 | 학위 | 학위수여대학 | 전공 |
장명기 | 경영학박사 | Syracuse University |
|
김영곤 | 행정학박사 | University of Georgia |
|
임성철 | 경영학박사 | 성균관대학교 |
|
석사 | 국문명 | 국제뷰티서비스경영학석사 |
---|---|---|
영문명 | Master of Global Beauty Service Business Administration |
강남대학교 융복합대학원 경찰법무학과는 수도권 남부 최초의 개설학과로 최근 높은 수요와 미래지속 가능한 공공과 민간의 치안·안전관리 분야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심화된 법제실무교육을 수행함.
강남대학교 융복합대학원 경찰법무학과는 기존 융복합대학원 법학과가 법이론 중심과 포괄적인 법분야를 교육하던 것에서 공공과 민간의 치안·안전관리 영역으로 그 역량을 집중시켜 경찰공무원ㆍ안전관리 관련 일반직 공무원, 민간 경비업 등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을 집중 운영함.
강남대학교 융복합대학원 경찰법무학과는 직무중심형ㆍ실무중심형 법 교육체계를 통해 직무 연계형·재교육형 교육시스템 운영으로 특성화함.
- 국내 치안ㆍ안전관리 분야 전문가 양성에 학과 역량을 집중하여 실무교육의 전문화ㆍ차별화ㆍ특성화 도모
- 교육 소비자인 학생들의 수요를 고려하여, 경찰직이라고 하는 하나의 업역에만 교육목표를 두지 않고
안전 관리 분야 일반직 공무원, 민간 경비업 등 민간전문가에 대한 실무교육 및 재교육에 기여
- 이론 및 연구중심의 교육 틀에서 벗어나 교육과정의 이수 후, 치안ㆍ공공 안전관리 분야 실무에서
즉시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교육과정과 그 운용체계 구축
- 강남대학교 New Vision 2020+에서 제시하고 있는 지식을 융합하는 창의인재, 미래사회를 선도하는 혁신인재,
인류애를 실천하는 사회공헌 인재의 육성을 위한 현장형 교육
교육과정 | PDF보기 |
---|
성명 | 학위 | 학위수여대학 | 전공 |
이회규 | 법학박사 | 독일 바이로이트대학 | 민법 |
박석정 | 법학박사 | 한양대학교 | 형사학 |
유주선 | 법학박사 | 독일 마아부르크대학 | 회사법 |
윤석진 | 법학박사 | 중앙대학교 | 공법학 |
석사 | 국문명 | 경찰법무학 석사 |
---|---|---|
영문명 | Master of Police and Legal affairs |
강남대학교 융복합대학원 경찰법무학과 졸업생의 공직 등의 취업분야에서 강점을 보이는 분야를 발굴하여 강점을 극대화하기 위한 독자적인 교육과정 개편으로 학과 경쟁력을 보다 강화함.
최근 급격하게 변하고 다원화 되는 사회에서 개인의 정신건강에 대한 국가·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정신건강을 예방하거나 유지하기 위해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한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따라 본 학과는 심리·상담학과 미술치료기법의 이론과 임상실제를 겸비한 미술치료전문가를 양성 및 배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교육과정 | PDF보기 |
---|
성명 | 학위 | 학위수여대학 | 전공 |
안귀여루 | 문학박사 | 고려대학교 | 임상심리 |
구본용 | 교육학박사 | 한양대학교 | 교육학 |
신건호 | 교육학박사 | 한양대학교 | 교육심리학 |
박선혜 | 교육학박사 | 이화여자대학교 | 유아교육 |
조안나 | 교육학박사 | University of North Texas | 유아교육 |
정선화 | 교육학박사 | 중앙대학교/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 | 유아교육 미술치료 |
한미양 | 교육학박사 | 강남대학교 | 유아교육 |
장명옥 | 교육학박사 | 강남대학교 | 교육상담 |
석사 | 국문명 | 미술치료학석사 |
---|---|---|
영문명 | Master of Art Therpy |
비영리조직경영학과는 사회복지 가치와 철학을 바탕으로 다양한 복지기관, 비영리법인, 사회적 기업, 사회적 협동조합을 포함한 사회적 경제 조직 등의 설치 및 운영에 필요한 전문지식과 훈련 기회를 제공하여 비영리기관 자립 및 운영을 지원하는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데 주력하는 학과입니다.
교육과정 | PDF보기 |
---|
성명 | 학위 | 학위수여대학 | 전공 |
이홍직(주임교수) | 철학박사 | Columbia University | 사회복지학, 계획, 행정 |
윤종수 | 경영학박사 | 고려대학교 | 경영학 |
원지영 | 사회복지학박사 | Univ Chicago | 사회복지행정 |
석사 | 국문명 | 비영리조직경영학석사 |
---|---|---|
영문명 | M.N.O.(Master of Nonprofit Organization Management) |
한국사회에서 최근 들어 비중과 역할에 있어서 급부상하고 있는 사회적 기업, 사회적 협동조합 등의 사회적 경제 조직 뿐만 아니라 기존의 사회복지조직과 같은 비영리조직을 포괄하는 명칭으로 이러한 비영리조직의 효율적, 효과적인 경영능력을 갖춘 경영전문가를 양성함을 인식할 수 있게 하는 학위명임.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진행되고 있는 바, 개인, 기업, 정부 등의 서비스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데이터 분석과 활용은 매우 중요하며, 날로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있는 현실은 모든 면에서
효율적·효과적 능력을 요구함으로 이에 대응하는 전문가를 양성하고자 함.
사회와 경제 환경의 변화에 대한 공통적 이해를 바탕으로, 각 기업 및 기관 경영 그리고 창업에 대한 특화된 실천 기술 및 지식을 전달하고자 함.
경제조직의 합리적 경영과 창업을 위한 새로운 수요와 공급의 아이디어 도출, 지속 가능한 성장과 불확실성에 대한 예측 및 위험관리,
신시장 개척, 변화에 대한 대응 능력 고양
글로벌 경제 체계 아래에서 다양한 정보를 활용하여 각 분야의 경영에 필요한 이론, 방법, 자료의 관리와 분석, 경영전략, 경영자원 관리방법 등
현장 실무능력 고양조직에 대한 정확한 정보제공과 예측 자료 제공 역량 고양
인적, 물적 자원 및 적절한 정보의 안정적 확보를 위한 인력 채용, 관리, 훈련, 정보 획득, 대응 능력 배양
교육과정 | PDF보기 |
---|
성명 | 학위 | 학위수여대학 | 전공 |
곽철완 | 정보학박사 |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 정보학 |
김진묵 | 정보학박사 | University of Maryland | 정보학 |
박민수 | 정보학박사 | University of Pittsburgh | 정보학 |
김영곤 | 행정학박사 | University of Georgia | 부동산학 |
유원석 | 경제학박사 | 서울대학교 | 재무경제학 |
최유진 | 행정학박사 | Cleveland State Univ. | 도시행정학 |
석사 | 국문명 | 데이터사이언스융합학석사 |
---|---|---|
영문명 | M.D.S.C (Master of Data Science Convergence) |
안녕하세요. 강남대 대학원 문예창작학과는 글을 읽고 쓰고 사는 사람들의 문학 공동체를 지향합니다. 문학은 혼잣말이 아닙니다.
누군가에게 말을 건네고 싶다는 것, 문학은 당신을 향하여 있습니다. 거기, 당신을 불러 세워 잠시 어리둥절하게 합니다.
저녁에 우리는 이곳에 모여 문학의 공동체, 대화의 공동체를 꽃피웁니다.
강의실을 나와 집으로 돌아가는 버스 안에서, 지하철 안에서 문득 간절하게 글이 쓰고 싶어져 손끝이 간지럽고 마음이 들썩이기를……
그리하여 글 쓰는 밤이 찾아오고, 계속되기를…… 한 명의 작가가 만들어지고, 글을 쓰는 삶이 자라나는 곳, 우리 함께 씁시다.
http://creative.kangnam.ac.kr/
교과과정 | PDF보기 |
---|
성명 | 경력 | 대표작 | 연구실 |
---|---|---|---|
김행숙 | 1999년 『현대문학』으로 등단 | 시집 - '사춘기', '이별의 능력', '타인의 의미', '에코의 초상', '1914년' | 경천관 403-1 |
강유정 | 2005년 조선일보, 경향신문, 동아일보 등단 | 비평집 - '오이디푸스의 숲', '타인을 앓다', '스무살 영화관', '영화 글쓰기 강의' 등 | 경천관 204-2 |
윤성희 | 1999년 동아일보 등단 | 소설집 - '레고로 만든 집', '거기, 당신', '베개를 베다', '상냥한 사람' 등 | |
오은 | 2002년 『현대시』로 등단 | 시집 - '호텔 타셀의 돼지들', '우리는 분위기를 사랑해', '유에서 유' 등 |
석사 | 국문명 | 문학 석사 |
---|---|---|
영문명 | Master of Literature |
교과과정 | PDF보기 |
---|
성명 | 학위 | 학위수여대학 | 전공 | 비고 |
---|---|---|---|---|
정성진 | 명예박사 | 실천신학대학원대학교 | 목회학 | 강남대학교 석좌교수 |
유기성 | 석사수료 | 감리교신학대학원 | 영성학 | 선한목자교회 담임목사 |
김병삼 | 박사 | 유나이티드 신학대학원 | 선교신학 | 만나교회 담임목사 |
김정근 | 박사 | 위스콘신-매디슨 대학교 | 노인정책, 실버산업 | |
이영석 | 박사 | 한양대학교 | 파이썬, 컴퓨터공학 | |
윤성민 | 박사 |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 실천신학, 설교예배학, 영성 | |
공성훈 | 목회학박사 | 클레어몬트 신학대학원 | 목회상담 |
석사 | 국문명 | 목회영성리더쉽석사 |
---|---|---|
영문명 | Master of Arts in Practical Theology |
반도체 산업은 시스템과 함께 발전하며, 반도체산업이 발달할수록 시스템과 반도체의 응용을 위한 전문 엔지니어의 수요도 폭발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시스템 및 반도체응용학과는 이러한 사회적 수요에 부응하여 시스템 및 반도체를 위한 소자, 공정, 장비, 재료, 전기 및 전자 제어, 메카트로닉스 등에 대한 최첨단의 이론적이고 실무적인 지식과 경험을 배양하여 창의적이고 실천적인 최고의 시스템반도체 엔지니어로 육성하기 위해 특화된 학과이다.
본 전공에서는 잔방위 산업인 시스템들과 이를 기반으로 하는 반도체 응용 분야의 이론 및 실무 중심의 시스템반도체 전문인력과 고부가가치의 벤처 창업 인력을 양성하고자 함
교과과정 | PDF보기 |
---|
성명 | 학위 | 학위수여대학 | 전공 |
---|---|---|---|
서경환 | 박사 | KAIST | RF회로 & 무선통신 |
김무진 | 박사 | Postech | 반도체 레이저 |
배성근 | 박사 | 숭실대학교 | 음향, 음성 신호처리 및 임베디드 |
김구성 | 박사 | Rensselaer Polytechnic Institute(Troy, NY) | 반도체 및 전자재료 |
신승우 | 박사 | KAIST | 반도체 |
석사 | 국문명 | 시스템및반도체응용학석사 |
---|---|---|
영문명 | Master of System and Semiconductor |
◦ “온라인 플랫폼으로 활성화되고 있는 음악공연계에 디지털 미디어 기술을 접목한 음악공연 전문가를 양성하는 학과”
◦ “공연무대에 필요한 실력 있는 전문 연주가, 음악인을 양성하는 학과”
◦ “코로나 시대 소외된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고 나누는 역량을 갖춘 음악공연가 양성”
◦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 시대를 이끌어갈 "대면 및 비대면 음악공연에 필요한 전문 인력"을 양성함으로써 음악공연의 진흥과 음악공연 무대의 다양성과 사회공헌 제고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 음악공연융합학과 석사과정은 다양한 배경의 전공자들이 자신의 전문성과 디지털 및 미디어 기술 교육을 통해 자신이 활동하고자 하는 대면, 비대면 공연무대에서 전문 인력으로 성장하는 원동력이 되도록 교육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 음악공연에 대한 심화된 레슨과 미디어 기술에 대한 교육, 무대현장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전문적이고 효율적인 음악공연 전문 인력 양성을 목적으로 합니다.
- 음악공연의 예술성과 경제성, 다양성과 사회 공헌성 등 음악이 갖는 정신적, 경제적, 복지적, 사회적 가치의 조화를 추구하는 음악공연 전문 인력 양성을 목적으로 합니다.
공연은 관객과 작품이 만나야 비로소 완성됩니다. 코로나 판데믹 시대에도 "관객과의 지속적인 교류, 소통"은 음악공연자들의 중요한 숙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비대면과 대면이 공존하는 현시점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즉각적인 소통이 가능해졌기 때문에 관객과 음악인들의 거리가 좁혀지고 관객들의 참여와 이에 따른 공연 만족도가 높아져서 온라인 공연이 급격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코로나 판데믹 시대의 공연은 감염병에 대비하여 철저한 방역이 준수되는 안전한 공연과 관람을 요구하고있습니다. 음악공연의 연주자, 음악인은 이러한 요구와 시대 흐름에 맞는 공연에 대한 전문성과 연주 능력, 온라인 플랫폼과 미디어 기술에 대한 이해와 역량을 갖추는 것이 필요합니다.
『음악공연융합학과』는 우리 학교 음악학전공의 강점인 오랜 전통과 성악, 기악 연주의 정통 클래식을 기반으로 하는 교육과정에 미디어 기술을 융합한 공연무대 중심의 특성을 결합하여 무대공연 현장에 필요한 연주가, 음악인 뿐 아니라 음악이 접목된 다양한 분야로 진출할 수 있는 음악공연 전문가를 배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코로나 판데믹이 진정되면 이후 음악공연은 영상과 무대가 공존하는 형태의 실험적 공연들이 주를 이를 것으로 전망이 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음악 공연의 연주자와 음악공연 각 분야의 전문가라면 음악공연에 대한 전문성 뿐아니라 온라인 미디어 기술에 대한 이해가 필요할 것입니다. 타 대학원의 교육과정에 없는 『음악공연융합학과』를 통하여 대면 공연 뿐만 아니라 미디어 플랫폼을 통한 비대면 온라인 공연을 할 수 있는 실무능력을 갖춘 연주가, 음악공연 각 분야의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성명 | 학위 | 학위수여대학 | 전공 |
---|---|---|---|
권새롬 | D.M.A. 박사 | University of Cincinnati, College-Conservatory of Music | 첼로 |
고계원 | MAS Ph.D 박사수료 | Arizona State University | Arts, Media & Engineering |
마티아스 루프트 | Konzertexamen 박사 | Hochschule für Musik “Franz Liszt”in Weimar | 클라리넷 |
교과과정 | PDF보기 |
---|
박사 | 국문명 | 음악학석사 |
---|---|---|
영문명 | Master of Arts in Music (M.A.M) |